승무(僧舞)

홈 > 시 백과 > 시인의 시
시인의 시
 
* 특정 종교나 정치.사상, 이념에 치우친 작품과 다수 회원이 삭제를 요청하는 글은 양해없이 삭제되거나 개인게시판으로 옮겨집니다.
* 저자난에는 이름만 사용해야 하며, 별명이나 아호 등을 사용해 등록자 이름과 저자(시인)의 이름이 달라지면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 모두를 위하여 한 번에 많은 작품을 연속해서 올리는 것은 지양하시길 부탁드립니다.
* 목록의 등록자 이름에 마우스를 놓고 클릭하시면 해당 등록자가 올린 작품을 한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 검색시에는 리스트 하단 <다음검색>버튼으로 나머지 검색 결과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승무(僧舞)

관리자 4 10623
저자 : 조지훈     시집명 :
출판(발표)연도 : 1939     출판사 :
승무(僧舞)

                조 지 훈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을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먼 하늘 한 개 별빛에 모도우고

복사꽃 고운 뺨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煩惱) 는 별빛이라.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깊은 마음 속 거룩한 합장(合掌)인 양하고

이밤사 귀또리도 지새는 삼경인데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4 Comments
최고 2005.11.05 01:56  
여러 시를 좋아하는 저이지만, 이 시만큼은 언제 읽어도 정말 특별한것 같아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시..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 시가 있을 수 있는지..
가을 2006.04.22 12:00  
시어 및 시상 전개
 
사(紗): 비단
나빌레라: 나비로구나(영롱한 언어)
파르라니: 파르스름하게(언어의 조탁)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역설법
얇은 사 하이얀 ∼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춤을 막 시작하려는 찰나의 여승의 모습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달이 자나가면서 오동잎 잎새 뒤에 숨는 모습을 잎새마다 달이 진다고 표현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무대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
소매는 길어서 ∼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 비교적 빠른 박자에 맞추어 춤추는 모습
까만 눈동자: 관능적 표현
까만 눈동자 ∼ 모두오고: 거의 정지한 듯한 춤 동작
복사꽃: 복숭아 꽃
두 방울: 눈물
세사(世事)에 시달려도 번뇌(煩惱)는 별빛이라: 인간고의 종교적 승화
복사꽃 ∼ 별빛이라: 주제연
휘어져 감기우고 ∼ 양하고: 느린 박자의 춤동작
지새우는: 지새다+울다의 합성어
이 밤사 ∼ 나빌레라: 춤이 끝난 뒤의 정적감(귀뚜라미 소리가 들림)
가을 2006.04.22 12:00  
핵심 정리
 
▶ 감상의 초점

『승무』의 공간적 무대는 조지훈을 비롯한 한국인 모두에게 자기 정체(自己正體, self identity) 회복의 공간이다.

『승무』는 선적(禪的)인 정취와 분위기에 차 있는 시라고 하겠다. 선(禪)의 세계는 경험적이건 선험적(先驗的) 간에 일어나는 표상, 개념, 판단 등의 고요함을 깨뜨리는 일체의 상념을 제거한 뒤에 나타나는 정적(靜寂)의 세계이다.

▶ 성격 : 전통적, 주정적, 선적(禪的), 불교적, 율동적, 고전적

▶ 구성 :

① 도입 : 춤추려는 찰나의 모습(제1-3연)

② 전개 : 무대와 배경(제4연)

              춤의 동작(제5-8연)

③ 결미 : 춤의 종료(제9연)

▶ 제재 : 승무(僧舞)

▶ 주제 : 인간번뇌의 종교적 승화
가을 2006.04.22 12:01  
이해와 감상
 
오동잎이 달빛을 받으며 떨어져 내리는 밤. 아무도 없는 빈 무대에 황촉 불을 켜 놓고 춤을 춘다. 그러므로 이 춤은 누구에게 보이기 위한 춤이 아니라, 자신의 번뇌를 떨쳐 버리려는 몸짓이며, 가없는 영혼의 세계를 향한 간절한 발돋움일 터이다.

'복사꽃 고운 뺨', '까만 눈동자' 같은 관능적인 아름다움이나 '두 볼에 흐르는 빛이 /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라는 표현을 보면, 이토록 젊고 아름다운 여인이 어찌하여 세속적인 영화(榮華)를 멀리하고 승려가 되지 않을 수 없었는가 하는 것이 궁금해진다. 그러나 이 시는 그 연유를 밝히지는 않는다. 구구한 설명이 필요없이 세속은 어차피 번뇌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바탕에 자리잡고 있다고 하겠다.

춤 동작은 그 번뇌를 떨쳐 버리려는 몸짓에 걸맞게 완급을 드러내 준다. 멎는 듯 움직이고 움직이는 듯 멎는 그 동작을 통해 우리는 고뇌를 이겨내려는 한 여승의 자기 정화의 몸부림을 보는 듯하다.

발은 이 번뇌의 땅을 디디고 있지만, 눈은 '먼 하늘 한 개 별빛'을 향해 있다.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는 표현이 드러내 주고 있는 바, 지상적·세속적인 번뇌를 통해 여승은 종교적·초월적으로 승화되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 자료 - 조지훈의 <시의 원리>(珊瑚莊刊, 1956)에서

"나는 한편의 시가 이루어 지기까지에는 어떠한 과정을 밟는가 하는 데 대하여 졸시 '승무'의 작시 체험을 말함으로써 시의 비밀을 토로하겠습니다.
내가 승무를 시화(詩化)해 보겠다는 생각을 가지기는 열 아홉 때의 일이었습니다. 나는 이 '승무'로써 나의 시세계의 처녀지를 개척하려고 무척 고심하였습니다만 마침내 이 보다 늦게 구상한 '고풍의상'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나는 이 난산(難産)의 신(新)을 회태(懷胎)하기까지 나는 세 가지의 승무를 사랑하였습니다. 첫 번은 한성준(韓成俊)의 춤, 두 번째는 최승희(崔承喜)의 춤, 세 번째는 이름 모를 승려의 춤이 그것입니다.
나는 무용 비평가가 아니므로 그 우열을 논할 수 없습니다만 앞의 두 분 춤은 그 해석이 나의 시심에 큰 파문을 던지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나 나로 하여금 승무에의 호기심을 일으켜 몇 번의 기녀(妓女)가 추는 승무에까지 이끌어 갔던 것이니 승무를 시화케 한 최초의 모멘트가 된 것은 사실입니다. 내가 참 승무를 보기는 열 아홉 살 적 가을이었습니다. 그 가을 어느 날 수원(水原) 용주사(龍珠寺)에는 큰 재(齎)가 들어 승무밖에 몇 가지 불교전래의 고전음악이 베풀어지리라는 소식을 거리에서 듣고 난 나는 그 자리에서 수원으로 내려가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 밤 나의 정신은 온전한 예술 정서(情緖)에 싸여 승무 속에 용입(溶入)되고 말았습니다.
그 밤 나의 정신은 온전한 예술 정서에 싸여 승무 속에 용입(溶入)되고 말았습니다. 재(齋)가 파한 다음에도 밤늦게까지 절 뒷마당 감나무 아래서 넋없이 서있는 나를 깨닫지 못하였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나는 시정(詩情)을 느낄 땐 뜻 모를 선율이 먼저 심금을 부딪힘을 깨닫습니다. 이리하여 그 밤의 승무의 불가사의한 선율을 안고 서울에 돌아온 나는 이듬해 늦은 봄까지 붓을 들지 못하고 지내왔었습니다. 춤을 묘사한 우리 시가(詩歌)로 본보기가 될 만한 것이 아직 없을 때이라 나에게는 오직 우울밖에 가중(加重)되는 것이 없었습니다. 이와 같이 한마디의 언어 한 줄의 구상도 찾지 못한 채 막연한 괴로움에 싸여 있던 내가 승무를 비로소 종이 위에 올리게 된 것은 내 스무 살 되던 해의 첫여름의 일입니다. 예술전람회에 갔다가 김은호(金殷鎬)의 {승무도(僧舞圖)} 앞에 두 시간을 서 있은 보람으로 나는 비로소 우려 78자의 스캐치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움직임을 미묘히 정지태(靜止態)로 포착한 이 한폭의 동양화에서 리듬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지당한 발견이었으나 이 그림은 아까 기녀(妓女)의 승무를 모델 한 상 싶어 내가 찾는 인간의 애욕 갈등 또는 생활고의 종교적 승화 내지 신앙적 표현이 결여되어 그때의 초고(草稿)는 겨우 춤의 외면적 양자(樣姿)를 형상(形象)하는 정도의 산만한 언어의 나열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그림을 통해서 내가 잡지 못해 애쓰던 어떤 윤곽을 잡을 수 있었던 것만은 사실입니다.
나는 이 초고를 몇날 만지다 그대로 책상 위에 버려둔 채 환상(幻想)이 가져오는 소위 시수(詩瘦)에 빠지게 되었으니 이 승무로 인하여 떠오르는 몇 개의 시상을 아낌없이 희생하기까지 하였으나 종시 뜻을 이루지 못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면 나는 용주사(龍珠寺)의 춤과 김은호의 그림을 연결시키고도 왜 시를 형성하지 못했던가? 이는 오직 춤을 세밀히 묘사하면 혼의 흐름의 표현이 부족하고 혼의 흐름에 치중하면 춤의 묘사가 죽는 말하자면 내용과 형식, 정신과 육체, 무용과 회화(繪畵)의 양면성을 초극하지 못하기 때문이었습니다. 내가 이것을 초극하고 한 편의 시를 만들기는 또다시 몇 달이 지난 그해 10월 구왕궁(舊王宮) 아악부(雅樂部)에서 {영산회상(靈山會相)}의 한가락을 듣고 난 다음날이었습니다. 아악부를 나서면서 나는 몇 개의 플랜(plan)을 세우게 되었으니 이것이 곧 이 시를 이루는 골자(骨子)가 되는 것입니다. 먼저 초고에 있는 서두의 무대 묘사를 뒤로 미루고 직입적(直入的)으로 춤추려는 찰나의 모습을 그릴 것, 그 다음 무대를 약간 보이고 다시 이어서 휘도는 춤의 곡절(曲折)로 들어갈 것, 그 다음 움직이는 듯 정지하는 찰나의 명상의 정서를 그릴 것, 관능의 샘솟는 노출을 정화(淨化)시킬 것, 그 다음 유장(悠長)한 취타(吹打)에 닳는 의상의 선을 그리고 마지막 춤과 음악이 그친 뒤 교교(皎皎)한 달빛과 동터오는 빛으로서 끝막을 것, 이것이 그 때의 플랜이었으니 이 플랜으로 나는 사흘동안 퇴고(推敲)에 퇴고를 거듭하여 스무 줄로 된 한 편의 시를 겨우 만들게 되었습니다. 퇴고하는 중에도 가장 괴로웠던 것은 장삼(長衫)의 미묘한 움직임이었습니다. 나는 마침내 여덟 줄이나 되는 묘사를 지워버리고 나서 단 두 줄로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보선이여!'라 하고 말았습니다. 이리하여 나는 전편 15행의 다음과 같은 시 하나를 이루었던 것입니다.…시 전문 생략…오래 앓던 작품을 완성하였을 때의 즐거움은 컸다하지 않을 수 없었으나 처음 의도에 비길 때 너무나 모자라는 자신의 기법에 서글픈 생각이 그에 못지 않게 컸던 것도 사실입니다. 어떻든 구상한지 열 한달, 집필한지 일곱 달만에 겨우 이루어졌다는 이야기로써 나의 승무의 비밀은 끝납니다. 써 놓고 보니 이름 모를 승려의 춤과 김은호의 그림과 같으면서도 다른 또 하나의 승무를 만들게 되었던 것입니다. 말하자면 이 춤은 내가 준 승무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 춤추는 승려는 남성이었드랬는데 나는 이승(尼僧)으로 그림의 여성은 장삼을 입은 속녀(俗女)였으나 나는 생활과 예술이 둘 아닌 상징으로서의 어떤 탈속한 여인을 꿈꾸었던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곧 이 승무는 나의 춤이 되는 까닭이 되기 때문입니다. 열 아홉의 아름다운 체관(諦觀)! 슬픔도 이렇게 즐겁고 볼 양이면 내가 어찌 시를 떠나서 살 법이 있으랴만 이러한 고심에 비하여 시가 얼마나 초라한가는 다시 말하고 싶지 않으니 이는 끝내 내가 시인이 아니고 말아도 서러울 리 없기 때문입니다. 뒷날 어느 선배는 나의 시에서 언어의 생략을 충고하였으나 유장(悠長)한 선을 표현함에 구슬같이 밝고 가벼운 언어만으로서는 도저히 뜻할 수 없어 오히려 리듬을 위하여 부질없는 듯한 말까지 넣지 않을 수 없었던 것입니다. 자연(自然)한 해조(諧調)를 이루는 빈틈없는 부연(敷衍)은 생략보담도 어렵다는 것을 나는 여기서 절실히 느꼈습니다."  - 조지훈의 <시의 원리>(珊瑚莊刊, 1956)에서
제목 저자(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