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주

홈 > 시 백과 > 시인등록
시인등록
 
시인의 약력을 소개하는 곳입니다.
등재를 원하는 시인께서는 게시판메뉴중 <운영자에게> 에다 회원등업요청을 하시고 등업후 약력을 올리시거나, 또는 등업요청하실때에 프로필과 사진까지 첨부해주시면 운영자가 회원등급조정과 함께 프로필을 정리하여 "시인약력"으로 옮겨드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곳에 프로필이 등재되면 시전체보기에 작품을 올리실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됩니다.
'링크1'에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하시면 '시인의 홈피'에서 연결됩니다(http://를 붙여주세요) 

김남주

hanwori 0 3131
1946 10월 16일 전남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에서 아버지 김봉수, 어머니 문일님 사이에 둘째 아들로 태어남&nbsp;&nbsp;
1964 광주일고 입학. 획일적인 입시 위주 교육에 반대하여 이듬해 자퇴&nbsp;&nbsp;
1969 대입 검정고시를 거쳐 전남대 문리대 영문학과에 입학. 대학 1학년때부터 3선개헌 반대 운동과 교련 반대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 반독재 민주화 투쟁에 앞장섬.&nbsp;&nbsp;
1972 박정희 정권 유신헌법 선포. 이에 전남대 법대 친구 이강과 함께 전국 최초의 반유신 투쟁 지하신문 &lt;함성&gt;제작&nbsp;&nbsp;
1973 2월, 전국적인 반유신 투쟁을 위해 이강과 함께 지하신문 &lt;고발&gt;지 제작. 3월, 이 사건으로 박석무, 이강 등 15명 체포 구속됨. 국가보안법, 반공법 위반로 징역2년 집행유예3년 선고 받고, 투옥 8개월만에 석방. 이후 학교 재적&nbsp;&nbsp;
1974 고향에 내려가 농사를 지으며 농민문제에 깊은 관심을 쏟은. &lt;창작과 비평&gt; 여름호에 &#039;진혼가&#039; 등 7편의 시로 문단 데뷔&nbsp;&nbsp;
1975 광주 최초의 사회과학 전문서점 &lt;카프카&gt;개설, 광주의 사회문화운동 구심점 역할 수행&nbsp;&nbsp;
1977 재차 귀향, 농민들과 함께 &lt;해남농민회&gt;결성. 이는 후일 발족된 &#039;한국기독교농민회&#039;의 모체가 됨. 그해 말 다시 광주로 나와 광주지역 활동가들과 &lt;민중문화연구소&gt;개설, 초대 회장 역임&nbsp;&nbsp;
1978 &lt;민중문화연구소&gt; 활동의 일환으로 &#039;파리콤뮨&#039; 일어 강독중 중앙정보부 급습으로 피신. 상격 이후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준비위원회 가입. 박석률 등과 함께 남민전 &#039;전위대&#039;전사로 활동. 수배중 알제리 해방운동의 기수 프란츠파농의 명저 &lt;자기 땅에서 유배 당한 자들&gt; 번역&nbsp;&nbsp;
1979 10월 4일, 남민전 조직원으로 서울에서 활동중 약 80명의 동지와 함께 체포 구속됨. 60여일간의 장기구금과 혹독한 고문수사 끝에 투옥됨&nbsp;&nbsp;
1980 5월 2일 남민전 사건 1심 판결, 9월 5일 항소심 판결. 12월 23일 대법원에서 징역 15년 실형 확정. 광주교도소 수감&nbsp;&nbsp;
1984 첫 시집 &lt;진혼가&gt;(청사) 출간&nbsp;&nbsp;
1985 자유문인실천협의회, 민주언론운동협의회, 민중문화운동협의회, 민중문화연구 공동 명의로 석방 촉구 성명서 채택. 4월 27일 &#039;김남주 석방대책위&#039; 발기&nbsp;&nbsp;
1986 전주교도소 이감.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국제 PEN 대회에서 &#039;김남주 시인 석방 결의문&#039;채택.&nbsp;&nbsp;
1987 민족문학작가회의 창립총회(9우러17일)에서 석방 촉구 결의문 채택. 일본에서 시집 &lt;농부의 밤&gt; 출간. 일본 PEN 클럽 명예회원으로 추대됨. 제 2시집 &lt;나의 칼 나의 피&gt; 출간&nbsp;&nbsp;
1988 문인 502명 석방 탄원서 제출. PEN 세계본부, 미국 PEN 클럽이 정부에 석방촉구 서한 발송.&nbsp;&nbsp;
1988 12월 21일, 형집행정지로 &#039;남민전&#039;사건 투옥 이후 만 9년 3개월만에 전주교도소에서 석방&nbsp;&nbsp;
1989 1월 29일, 광주 &#039;문빈정사&#039;에서 오랜 동지인 약혼자 박광숙과 결혼.&nbsp;&nbsp;
1990 민족문학작가회의 민족문학연구소장&nbsp;&nbsp;
1992 제6회 단재상 문학부문 수상&nbsp;&nbsp;
1993 윤상원 문화상 수상&nbsp;&nbsp;
1994 2월 13일 , 새벽2시 30분 췌장암으로 투병하다가 별세. 전남대 5월 광장에서 ㅗ제 후 광주 5.18묘역에 안장. 2월 19일, 민족예술상 수상. 유족으로 부인 박광숙 여사와 아들 토일군이 있음.&nbsp;&nbsp;

주요 저서 시집 목록
시집 &lt;진혼가&gt;&nbsp;&nbsp;&nbsp;&nbsp;청사&nbsp;&nbsp;1984
시집 &lt;나의 칼 나의 피&gt;&nbsp;&nbsp;&nbsp;&nbsp;인동&nbsp;&nbsp;1987
시집 &lt;농부의 밤&gt; 일본어판&nbsp;&nbsp;&nbsp;&nbsp; 1987
하이네/브레이트/네루다 혁명시집 &lt;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gt;&nbsp;&nbsp;&nbsp;&nbsp;남풍&nbsp;&nbsp;1988
시집 &lt;조국은 하나다&gt;&nbsp;&nbsp;&nbsp;&nbsp;남풍&nbsp;&nbsp;1988
시선집 &lt;사랑의 무기&gt;&nbsp;&nbsp;&nbsp;&nbsp;창작과비평사&nbsp;&nbsp;1989
옥중서한집 &lt;산이라면 넘어주고 강이라면 건너주고&gt;&nbsp;&nbsp;&nbsp;&nbsp;삼천리&nbsp;&nbsp;1989
시집 &lt;솔직히 말하자&gt;&nbsp;&nbsp;&nbsp;&nbsp;풀빛&nbsp;&nbsp;1989
시집 &lt;사상의 거처&gt;&nbsp;&nbsp;&nbsp;&nbsp;창작과비평사&nbsp;&nbsp;1991
하이네 정치풍자 번역시집 &lt;아타 트롤&gt;&nbsp;&nbsp;&nbsp;&nbsp;창작과비평사&nbsp;&nbsp;1991
산문집 &lt;시와 혁명&gt;&nbsp;&nbsp;&nbsp;&nbsp;나루&nbsp;&nbsp;1991
시선집 &lt;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gt;&nbsp;&nbsp; 한국대표시인 100인 선집&nbsp;&nbsp;미래사&nbsp;&nbsp;1991
옥중시선집 &lt; 저 창살에 햇살이 1.2&gt;&nbsp;&nbsp;&nbsp;&nbsp;창작과비평사&nbsp;&nbsp;1992
시집 &lt;이 좋은 세상&gt;&nbsp;&nbsp;&nbsp;&nbsp;한길사&nbsp;&nbsp;1992
0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