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完]권태응

홈 > 게시판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시론, 수필, 감상평 등과 일상적 이야기, 유머, 질문, 답변, 제안 등 형식이나 주제,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하며 향후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完]권태응

권태응 (1918∼1951.)

1918년 충북 충주 출생, 제일 고보 졸업.
1937년 일본 와세다대 정경학부 입학.
1939년 독서회 사건으로 투옥, 와세대다 중퇴.
1940년 폐결핵으로 출감. 귀국.
1941년 인천적십자 요양원에 입원.
1944년 결혼과 동시에 퇴원.
1948년 글벗집에서 동시집 동요집 『감자꽃』(창작과비평사 1995)을 다시 펴냄,
1951년 병세가 악화되어 34세의 나이로 돌아가심.

「땅감나무」 「산샘물」 「서울 구경」 등 소박한 생활 풍경이 담긴 동시들을 남김.












***********************한평생과 작품

권태응의 한평생

동요시인 권태응은 3.1 독립운동이 일어난 바로 그 전해인 1918년에 충북 충주에서 태어났다. 연보를 보면 15세가 되던 1932년에 충주 교현 보통학교(지금의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이 중국에 쳐들어가 중일전쟁을 일으킨 1937년에 제일 고보(지금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러니 그때까지는 식민지 교육 기관에서나마 대체로 별다른 문제가 없이 학교 교육을 받은 셈이다.
그리고 곧 일본에 가서 와세다 대학 전문부 정경학과에 입학했지만, 1939년에는 '독서회' 사건으로 치안유지법 위반제에 몰려 몰래 1년 동안 도쿄 스가모 형무소에 갇히게 되고, 학교도 중퇴당한다. 감옥에 갇혀 있는 동안 폐결핵에 걸리게 되고, 이듬해 1940년에 풀려나 고국에 돌아왔다. 이때부터 투병 생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

1941년 인천 적십자 요양원에 입원해 3년 동안 요양 생활을 하다가 1944년 퇴원해서 결혼하였다. 결혼한 뒤에도 요양을 계속하지만, 아마 이때는 충주의 고향집이나 그밖에 농촌에서 지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다가 6.25 전란이 터져서 두 차례나 피난을 하게 되고, 요양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피난 생활에서 병세가 나빠져서 1951년 3월에 만 33세 2개월이란 짧은 평생을 마감했다.
그가 살아 간 33년을 보면, 학교에도 들어가기 전인 유년기가 8년, 학교에 들어가서 공부를 한 동안이 13년, 감옥살이가 1년, 요양을 하고 투병을 한 세월이 11년이다. 그리고 동요를 쓴 것은 병마와 싸우면서 지내던 11년 동안의 후반 6년,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1945년부터 1950년까지다. 짧은 한평생에서도 다시 또 더 짧은 그 여섯 해, 그러나 그는 이 동안에, 마치 자신이 동요를 쓰기 위해 이 세상에 태어난 것처럼 온 마음과 힘을 다해 동요만을 썼던 것이다. 목숨을 앗아가려는 병마와 싸우면서.

남긴 작품

지금까지 권태응 시인이 세상에 낸 책으로는 동요집이 두 권 있다. 그 하나는 시인이 살아 있을 때인 1948년에 글벗집에서 낸 <<감자꽃>>이고, 다음은 그가 떠난 지 44년 만인 1995년에 같은 책이름으로 창작과 비평사에서 낸 동시집이다.
창작과 비평사에서 낸 <<감자꽃>> 제 1부에는, 1948년에 낸 <<감자꽃>> 작품을 모두 그대로 실었다. 제2부에는 1947년~1948년에 썼지만 첫 작품집에 싣지 않았던 28편을 넣었고, 제3부는 1949년에 쓴 작품 17편으로, 제4부는 1950년에 쓴 작품 19편으로 엮었다. 이래서 창작과 비평사에서 낸 <<감자꽃>>에는 모두 94편이 실려 있는데, 이것이 권태응의 이름으로 세상에 발표된 동요 또는 동시의 전부다.
그런데 권태응 시인은 이렇게 발표된 작품말고도 더 많은 작품을 썼고, 그것이 아직은 발표가 되지 않은 상태다. 내가 살펴본 바로는 모두 308편쯤 되는데, 이 가운데서 시집으로 세상에 발표된 것을 빼면 214편이 아직도 묻혀 있는 셈이다. 다행히 그 작품들은 시인이 손수 공책에 적어 놓은 동요집 여덟 권에 들어 있는 작품의 편수와 그것을 쓴 때를 다음에 적어 본다. 이들 동요집에는 시인이 스스로 책이름을 붙여 놓았고, 거의 모두 머리말까지 적어 놓았다.
다음 표를 읽는 데 참고될 만한 것을 몇 가지 더 보태겠다.
1) 발표된 작품(창비아동문고 <<감자꽃>>에 수록된 작품)에다가 발표가 안 된 작품을 더하면 실제로 쓴 작품이 된다. 그 수가 모두 308편인데, 이것이 권태응 신인이 쓴 둉요작품의 전부가 되는 셈이다. 이 표에서 '실린 작품수'의 총계가 366편이나 되는 것은, 같은 작품을 다시 또 수록했기 때문이다.
2) 손으로 쓴 동요집에서, 그 앞에 정리해 놓은 동요집에 들어 있는 작품을 두 번, 더러는 세 번이나 다시 또 넣은 경우게, 맞춤법이나 낱말이나 어느 그절을 고치고 다듬어서 다시 수록하기도 했지만, 처음 썼던 그대로 다시 수록한 작품도 여러 편 있다.



&nbsp;&nbsp; 책이름&nbsp;&nbsp;&nbsp;&nbsp;실린작품수/ 발표된작품수/ 발표안된작품수/쓴 때/&nbsp;&nbsp;비고
1 송아지&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46&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15&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31&nbsp;&nbsp;&nbsp;&nbsp;&nbsp;&nbsp;1947.3 머리말 있음
2 우리 시골&nbsp;&nbsp;&nbsp;&nbsp;&nbsp;&nbsp;44&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15&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27&nbsp;&nbsp;&nbsp;&nbsp;&nbsp;&nbsp; 1947&nbsp;&nbsp; 머리말없음
3 하늘과 바다&nbsp;&nbsp; 44&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7&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20&nbsp;&nbsp;&nbsp;&nbsp;&nbsp;&nbsp;1947.7 머리말있음
4 어린 나뭇군&nbsp;&nbsp; 36&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7&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22&nbsp;&nbsp;&nbsp;&nbsp;&nbsp;&nbsp;1947&nbsp;&nbsp;&nbsp;&nbsp;머리말없음
5 물동우&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30&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8&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20&nbsp;&nbsp;&nbsp;&nbsp;&nbsp;&nbsp; 1948&nbsp;&nbsp; 머리말있음
6 우리 동무&nbsp;&nbsp;&nbsp;&nbsp;&nbsp;&nbsp;37&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6&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1&nbsp;&nbsp;&nbsp;&nbsp;1948.8.16 머리말 있음
7 작품&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71&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17&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54&nbsp;&nbsp;&nbsp;&nbsp;&nbsp;&nbsp; 1949&nbsp;&nbsp; 머리말있음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어른들만&nbsp;&nbsp;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읽도록 한자를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섞어서 썼다)
8 동요와 또&nbsp;&nbsp;&nbsp;&nbsp;&nbsp;&nbsp;58&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19&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39&nbsp;&nbsp;&nbsp;&nbsp;1950.2.16 머리말있음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한자 섞음)

&nbsp;&nbsp; 모두&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366&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94&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214&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3) 연도별로 쓴 작품수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47년 144편(동요집 네 권)
1948년 35편(동요집 두 권)
1949년 71편(동요집 한 권)
1950년 58편(동요집 한 권)
4) 이것을 보면 1947년에 가장 많이 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동요집 표지에나 머리말에 1947년이라고 쓴 것은 그 작품들을 정리해서 묶은 때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1947년에 정리해 놓은 동요집 네 권에 들어있는 작품들은 그 내용으로 보아서 아마도 해방 바로 뒤인 1945년 가을부터 3년 동안에 쓴 것이라 생각된다.
5) '작품 1949'라고 표지에 써 놓은 동요집에 수록된 71편 가운데서 뒤쪽에 실려 있는 15편만은 따로 구분해서 '庚寅 4283.1950'이라 표해 놓았다. 그리고 이 작품들을 쓴 날짜를 작품마다 적어두었는데 모두 1950년 1월에서 2월 초순까지로 되었다. 1950년 2월 초순까지 쓴 것을 음력으로 쳐서 1949년도의 작품이라고 정리한 것이다.
6) 다른 동요집에 적힌 서기 연도도 음력으로 쳤는지 모르지만 <<작품>>에 들어 있는 15편을 양력으로 해서 1950년에 넣고, 4)에서 말한 1947년에 정리한 네 권의 동요집도 실제로 쓴 때를 살펴서 다시 적어 보면 다음과 같다.
1945~1947년 144편
1948년 35편
1949년 56편
1950년 73편
7) 1947년에 정리해 놓은 동요집 네 권 가운데서 해방 전에 슨 작품이 잇었을까? 작품의 내용으로 보아서 일제 시대에 쓴 것이라 짐작되는 것은 없다. 모두 8.15 뒤에 쓴 것이라 판단된다. 1945년부터 1950년까지 6년 동안, 이 시인이 평생의 업이라 여겨서 슨 작품의 수를 연도에 따라 보면, 대체로 해마다 작품 수가가 늘어나 있다. 몸은 병들어 죽어 가는데 시정신은 더욱 왕성하게 불타 있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드디어 그 끔찍한 전쟁이 터진(전쟁 소식을 듣게 된) 1950년 6월 26일, 이 시인의 노래는 끝나고 만다.


* 위 내용은 이오덕 선생님이 펴내신 <<농사꾼 아이들의 노래>>(소년한길)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연보

1918년 4월 20일 충주시 칠금동(옷갓) 381번지에서, 아버지 권중희씨와 어머니 민병희 씨의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지금까지 알려진 362번지는 8세부터 살게 된 집임. 여덟 살까지 이 집에서 한학자인 할아버지한테 한문을 배웠다.

1927년 충주 공립보통학교 입학. 보통학교 때 공부를 잘해서 어느 학년에서나 수석을 차지했고 마음도 너그러워 동무들이 많았다고 한다. 그의 담임이었던 김웅기 씨(전 충주시 교육감)의 말을 다르면, 과제로 내어준 역사 유적 조사나 일기쓰기 같은 것을 띄어나게 잘해 왔다고 함.

1932년 제일 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기고등학교) 입학. 이 학교에서 모든 과목에 걸쳐 두루 성적이 우수한 가운데서도 더구나 문학과 음악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고, 체육에도 뛰어났다고 함. 이 고등보통학교 시절을 회상하여 동기생인 이해곤 씨(전 충주시 교육감)가 한 말 - "권태응은 우리 글과 역사에 유달리 관심이 많았고, 정구팀 주장을 맡아 학교 대표로 전국대회에 나가기도 했다" "조선어에 대한 관심도 남달라 조선이 시간마다 질문을 독판으로 퍼부어 조선이 선생이 아주 못마땅해했다" 고.
정의감이 강했던 학생 권태응은 졸업 직전에 드디어 사건을 일으켰다. 동기생인 고흥업 씨들의 증언에 따르면, 졸업 앨범 속 표지에 실린 한 컷의 국화꽃 사진 때문이었는데, "일본을 상징하는 국화꽃을 왜 앨범에 실었나?" 해서 권태응을 비롯한 7명의 학생들이 합세해서 앨범을 만든 학생을 불러 내어 때렸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얻어 맞은 앨범 편집 위원이 그 무렵 세도 부리던 친일파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경찰이 나서서 수사하게 되거 사건이 크게 되었다는 것. 여기에다가 수사 과정에서 또 다른 사진 산 장이 말썽이 되어 권탱태응은 더욱 궁지에 몰렸다. 그 사진은 웃통을 벗은 권태응이 북악산 위에서 큰 돌을 번쩍 들어 올려 마치 총독부를 내려바보고 쳐부수려는 듯한 자세를 찍은 것인데, 더그나 그 사진 제목을 '재건'이라고 붙인 것이 문제가 되었다. 과민한 일본 경찰은 '재건'은 곧 '독립'을 뜻하는 것이라며 문제를 삼게 되었다. 결국 이 사건으로 15일 동안 종로 경찰서에 갇혀서 조사를 받았다. 그러나 졸업날을 얼마 남기지 않은 때였고, 학교 쪽에서 애써 중재를 해서 학적부테 '요주의 인물'로 적히는 선에서 사건은 마무리되었다.

1937년 3월 제일 고등보통학교 졸업.

1937년 4월 일본 와세다 대학 전문부 정경학과 입학. <<중원문학>> 3집과 17집 자료에는 '전문부 문과'라 해 놓았다.)

1938년 독서회 사건으로 치안유지법에 걸려서 체포됨.

1939년 5월 스가모 형무소에 갇힘. 징역 3년의 실형 언도를 받은 재판에서 덮어 쓰게 된 죄목은 '내란음모 예비죄'와 '치안유지법 위반'이었다.

1940년 6월 감옥 생활 1년 만에 폐결핵에 걸려 목숨이 위태롭게 되자, 병보석으로 풀려 나왔다. 오랫동안 미결수로 시달리면서 얻은 폐결핵이 이때에는 벌써 3기가 되어 있었다. 그 무렵 결핵 3기라면 사형 선고를 받은 거나 마찬가지였다. 학교도 퇴학 당하고 말았다.

1941년 인천 적십자 요양원에 입원, 담당 간호원 박희진 여인의 지극한 간호로 기적이 일어나, 건강을 어느 정도 되찾게 되었다. 건강뿐 아니고 박희진 여인의 사랑까지 얻게 되었다.

1944년 요양원에서 만난 영동 심천 출신의 박희진 여사와 결혼, 퇴원해서 돌아와 충주 고향집에서 요양함.

1944년 딸 영진 태어남.

1946년 아들 영함 태어남. 고향에서 요양을 하는 한편 야학을 열어 마을 사람들에게 글을 가르치고, 또 쥐대기극을 꾸며서 공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8년 12월 글벗집에서 동요집 <<감자꽃>>을 펴냄.

1950년 6.25전쟁으로 피난을 두 번이나 하는 동안 병세가 악화됨.

1951년 3월 28일 세상을 떠남. 누린 나이 33세. 충주시 금릉동 광명상(팽고리산)에 묻힘.

1968년 5월 5일 탄금대에 노래비 세워짐.

1995년 10월 동요집 <<감자꽃>>이 창비아동문고로 나옴.

2001년 5월 권태응 동요 이야기 <<농사꾼 아이들의 노래>>(이오덕/소년한길)이 나옴.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1-06-18 00:24:28 수정과 추가에서 이동 됨]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