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우 시인의 자연송(自然頌/조선시단사, 1929)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홈 > 게시판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시론, 수필, 감상평 등과 일상적 이야기, 유머, 질문, 답변, 제안 등 형식이나 주제,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하며 향후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황석우 시인의 자연송(自然頌/조선시단사, 1929)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李英芝 0 1432
황석우 시인의 자연송(自然頌/조선시단사, 1929)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1 상승적 이미지

신  계(3) 혼, 시선, 조화옹

인간계(7) 
 인간(3): 색시, 신선, 아버지, 어머니 당신, 심장

식물계(2)
 초목: 연닙(2) 

물질계(51)
 자연어: 대지구, 한울(2), 흰구름, 화산, 눈, 대지, 별(3), 달(3), 이슬, 물, 불(5)), 우주(7), 태양(16), 지구, 구멍, 흙, 불구멍(2),
문명어: 천국, 발전소, 서초등, 배

2. 하향적 이미지
 
신계(1): 혼
인간계(25)
 인간: 피난민, 이주민, 불량배, 어린애, 여자, 장사, 부부, 적, 죄인, 어린 것, 사람, 처녀
신쳬: 해골쟁이, 눈, 신체(2), 몸(5), 얼굴, 입술, 목덜미, 송장

동물계(8)
 날짐승: 까막까치
지상동물: 오랑이(2), 여호, 사자
벌레: 벌래, 나비

물질계(44)
 자연어: 바람(2), 이슬, 비(2, 한울(4),  구(4), 달(4), 우주, 강물, 바다(2), 포포, 태양(3), 지진, 태양계(2), 대륙(5), 구덕이, 빙하
문명어: 칼날, 지하실, 원자탄(2), 쇠발

3. 유추적이미지 
1) 순수유추

신계(9): 혼(7), 정령(2),
인간계(28)
인간: 사람, 처녀, 애기(2), 벌래, 여자(2), 남자, 애인(2), 어러미(3), 어린애기, 소녀, 처녀(20, 당신,주부, 연인, 어린애,
신체: 몸, 가슴, 입술, 얼골, 머리(2), 눈동자

동물계(24)
날짐승: 비둘기, 제비, 꾀꼬리, 참새, 기러기, 학, 톡목조, 새,  지상동물: 병아리, 잣나비, 곰, 송아지, 수꿩, 암꿩
어류: 알,논게, 산게
벌레: 나비(4), 누에, 벌(2)

식물계(9)
초목: 드름이꼿, 나부, 꽃다발, 꽃(3), 풀(1), 풀나무

물질계(56)
자연어: 산(2), 들(2), 태양(6), 물(5), 비, 눈(6), 달(5) 샘물(2), 언덕(2), 한울(3), 구름(3), 안개, 아즈랭이, 강(2), 개울, 무지개, 바다, 구름나라, 지구
문명어: 금괴, 경대
고유어, 견우성, 직녀성

2) 이성유추

인간계(18)
 인간: 영웅아, 남매, 귀족, 농부, 동무, 지휘자, 운전수, 자손, 시인, 철학자, 음악가, 나그네, 애기, 철인
 신체: 어깨, 보수, 피, 입

동물계(15)
날짐승: 날개(2), 제비(3)
지상동물: 나비(7)
벌레: 반딧불(3)

식물계(3)
초목: 풀, 나뭇가지(2)

물질계(30)
자연어: 태양(7), 등불, 바다, 눈, 바람, 지구(3), 우주, 별(3)
문명어: 깔댁이, 탄금(4), 창문, 소독염, 공장, 목화밭, 플로펠러(3)
 
3) 경험유추

신계(4): 혼(4)
인간계(65)
인간(39): 기사, 동생, 남편, 노동자, 할미, 주인, 아빠, 엄마, 사람(10), 누이동생, 안해(3), 색씨(3), 장님, 어머니(2), 마누라, 나그네, 남편, 배달부, 식구, 홀아비, 손자, 부인,
신체(26): 입, 입술(3), 젖꼭지(2), 젖, 등, 니마, 눈동자, 손바닥, 혀(3), 눈, 팔(2), 얼굴, 동자, 안, 주먹, 코, 억개, 발, 손목, 피

동물계(39)
날짐승(19): 제비(10, 새(2), 꾀꼬리, 수리개, 기러기, 학, 두루미)
지상동물(5): 새끼, 말, 헤(혀0, 닭, 강아지
어류(1): 고기(2)
벌레(14): 올챙이, 개구리(2), 나비(4), 공충(4), 눈알(개구리)

식물계(43)
열매(3):국화, 딸기(2)
초목(40): 오랑캐꽃, 풀, 코스모스(5), 아리아(20, 해바라기(2), 나무(3), 낙엽(2), 꽃(7), 송림, 닙(2), 수풀, 풀가지(2), 화충, 카나꽃(2), 나발꽃, 송이, 닙, 나무(7), 풀, 풀싹,나무가지, 나뭇잎, 싹(2), 풀(5), 애기(싹), 싹나무

물질계(240)
자연어(210): 향기, 개울, 돌맹이, 대지, 비(3), 물(5), 강(3), 바다(5), 들(2), 산(3), 물방울, 바람(5), 우주(7), 육지, 동산, 한울(7), 아즈랭이(2), 안개, 별(2), 구름(16), 고개, 들(3), 산(4), 흑, 대지, 물(6), 강, 지구(28), 은하 해, 달(4), 별(2), 공기, 눈, 바람, 사화산, 산, 노을(3), 하늘(3), 따, 은하, 구름,(5), 안개, 진눈깨비, 이슬(5), 달(10, 대양계, 천체(2), 태양(44))
문명어(26): 창석, 싸리문, 지게, 정차장, 실타루, 분, 논두렁, 장독, 입들, 양산, 낙시배, 등불, 안경, 쪽배, 포대기, 배, 창문, 비행기, 좃기,  비석, 집, 중산모, 방한모,
고유어(4): 금강산, 천문대, 태평양, 금강석

황석우 자연송(自然頌/조선시단사, 1929)시는  상승적 이미지에 신계(3), 인간계(7), 식물계(2), 물질계(51)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3 + 7 + 2 + 51=63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하향적 이미지의 신계(1), 인간계(25), 동물계(8), 물질계(44)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1 + 25 + 8 + 44=78 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유추적 이미지에서 순수유추에 신계(9), 동물계(24), 식물계(9), 물질계(56)의 시어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9 + 24 + 9 + 56=98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이성유추에는 인간계(18), 동물계(15), 식물계(3), 물질계(30)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18 + 15 + 3 + 30=66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경험유추는  신계(4), 인간계(65), 동물계(39), 식물계(43), 물질계(240)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4 + 65 + 39 + 43 + 240=591 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승적 이미지어 63개와 하향적 이미지어  78과 유추적 이미지어 755(순수유우 98 + 이성유추 66 +경험유추 591)로 총 명사시어를 926회 사용하였다.
 
따라서 묵시적 이미지에는 7%의 관심을 보이며 악마적 이미지에는 8%, 그리고 유추적이미지에는 85%의 관심을 보이고 그 중에서도 순수유추에는 12%, 이성유추에 7%, 그리고 경험유추에 66%의 관심을 보인다. 일상의 삶이 시나 시조로 드러나는 시인들은 그들의 환경이나 그리고 관심에 따라 시어가 달라진다. 황석우는 자연어 중에서 하늘과 관련된 시어들을 즐겨 사용하면서 남성적 시어와 가족에 관심을 보이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3-12-13 15:26:22 시 전체보기에서 이동 됨]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