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완영 시조시인의 시집 흑로도 시어 이미지 분석

홈 > 게시판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시론, 수필, 감상평 등과 일상적 이야기, 유머, 질문, 답변, 제안 등 형식이나 주제,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하며 향후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정완영 시조시인의 시집 흑로도 시어 이미지 분석

李英芝 0 2016
정완영 시조시인의 흑로도(黑鷺圖/월간문학사, 1972)에서의 시어 이미지 분석

1 상승적 이미지

신  계(시어 1개) 여신

인간계(79개) 총
 인간(11개):  관세음, 대불, 부처님(2), 장한, 지아비, 수로승, 노스님, 불, 노승
고유명사:미상

동물계(3)
 날짐승: 뻐꾸기
      지상동물: 금계
      벌레: 곤충

식물계(13)
      열매: 염주, 열매
      초목: 목련, 꽃, 자목련, 단풍, 솔씨, 모란, 들국화 풀잎, 연잎(2), 연, 고목

물질계(61)
 자연어: 산(6), 해, 한산, 태산, 정화수, 백운청산, 청산(2), 모래알, 정산, 하늘(4), 바다, 바위 물, 일월(3), 강산, ㅗ석, 달(9)
      문명어: 금종, 절(2), 거종, 등불, 등(2), 피리(2), 탑, 장삼, 마슬, 탑, 횃불, 성
      고유어: 대장경, 파계사, 백양사, 금정산, 낙산사, 의상대, 다보탑, 금강, 황아간(2), 백두, 한라태백
                              계 79

2. 하향적 이미지
 
인간계(4)
 인간: 폭군, 방랑아, 소녀
 신체: 피

동물계(3)
 날짐승: 뻐꾸기, 새

식물계(3)
초목: 돈나무, 심자가, 낙엽

물질계(20)
 자연어: 광야,산, 불(2), 소나기, 해, 구름, 비바람, 먹구름, 하늘
문명어: 전기, 선체, 돛폭, 모닥불, 무덤, 방매가, 오막사리


3. 유추적이미지 
1) 순수유추

인간계(20)
인간: 동자, 노부, 아내(2), 사람, 그대(2), 눈동자, 아버진, 님
신체: 가슴(2), 발, 피, 머리, 사람, 피, 발
고유어: 춘향

동물계(4)
날짐승: 기러기(2), 백로
지상동물: 짐승

식물계(9)
초목: 갈대, 꽃씨, 사철나무(2), 풀잎, 고목, 낙과, 황국화, 꽃다발

물질계(32)
자연어: 산(2), 구름, 별빛, 돌, 달, 향기, 청산(3), 강물(2), 강, 하늘(4), 거울, 강산(2), 산, 물, 구름, 산천, 달(2), 황금, 일월
문명어: 창, 질그릇
고유어, 낙동강

2) 이성유추

인간계(7)
 인간: 금광구, 산성주, 단후
 신체: 귀, 맨발, 귀(2)

동물계(6)
날짐승: 학(2), 노조, 종다리
지상동물: 사슴, 목(사슴)

식물계(5)
열매: 씨
초목: 민들레꽃, 숲, 해바라기, 깃발

물질계(25)
자연어:산백, 강, 저녁놀, 강물, 별(2), 하늘(2), 물, 구름, 강, 청산
문명어: 거문고, 벼룻물, 돗, 약탕관, 북, 붓, 왕국, 등불, 돗자리, 문(3), 밭
 
3) 경험유추

인간계(25)
인간(18): 석수(2), 아내, 어버이(2), 나그네, 아이(2), 아내(2), 소년, 선남선여, 노처, 장부, 막내, 어머님, 아이, 우체부
신체(7): 젖줄, 백발(2), 이마, 몸, 얼굴, 머리

동물계(200
날짐승(11): 기러기, 후조(2), 참새(2), 뻐꾸기(2), 산새, 까치, 제비, 귀뚜리
지상동물(7): 고슴도치, 짐승, 암수, 수컷새끼, 소동물, 소, 봉당개,
벌레: 매미, 벌레

식물계(25)
열매:머루다래, 고추
초목: 가랑잎, 진달래(3), 버들게지, 고목(2), 파초, 숲, 나무, 초목, 풀, 솔, 억새풀, 황국련, 꽃, 매화, 화초, 맨드라미, 두룹순, 감나무, 갈대꽃, 억새풀, 잎, 낙엽

물질계(57)
자연어(34): 구슬, 구름(2), 바위, 흙, 산(3), 청산(2), 백운, 불, 돌(3), 바람(8), 하늘(3), 놀, 물(3), 비, 눈, 바다, 땅
문명어(11): 옷, 절구공, 탄, 터, 우비, 배, 유리창, 담배, 동산, 카렌다, 책, 덧저고리
고유어(12): 동해, 히바리야, 조선호텔, 제1봉, 명동, 종로, 경희루, 비, 토함산, 서라벌, 금릉

정완영 시조는 김현승 시와는 달리 불교적 이미지 언어를 주로 사용하였다. 시조의 율에 맞추어 비교적 단수시조를 통하여 한국고유의 전통적 리듬을 살리기는 하였지만 시조의 엄격한 리듬은 맞추지 않고 있다. 
상승적 이미지의 인간계(11), 동물계(3), 식물계(13), 물질계(61)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11 + 3 + 13 + 61=88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하양적 이미지의 인간계(4), 동물계(3), 물질계(20)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4 + 3 + 20=27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유추적 이미지에서 순수유추에 인간계(20), 동물계(4), 식물계(9), 물질계(32)의 시어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20 + 4 + 9 + 32=65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이성유추에는 인간계(7), 동물계(6), 식물계(5), 물질계(25)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7 + 6 + 5 + 25=43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경험이미지는 인간계(25), 동물계(22), 식물계(25), 물질계(57)의 이미지 분포를 보이면서 25 + 22 + 25 + 57=129명사어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승적 이미지어 88개와 하양적 이미지어  27가 유추적 이미지어 237(순수유우 65 + 이성유추 43 +경험유추 129)로 총 명사시어를 352회 사용하였다.
따라서 묵시적 이미지에는 20%의 관심을 보이며 악마적 이미지에는 10%, 그리고 유추적이미지에는 69%의 관심을 보이고 그 중에서도 순수유추에는 18%, 이성유추에 12%, 그리고 경험유추에 39%의 관심을 보인다. 일상의 삶이 시나 시조로 드러나는 시인들은 그들의 환경이나 그리고 관심에 따라 시어가 달라진다. 김현승은 기독교적 시인, 정완영은 불교적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3-12-13 15:27:10 시 전체보기에서 이동 됨]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