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황동규 서울대학 정년 퇴임/펌글

홈 > 게시판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시론, 수필, 감상평 등과 일상적 이야기, 유머, 질문, 답변, 제안 등 형식이나 주제,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하며 향후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시인 황동규 서울대학 정년 퇴임/펌글

서봉석 0 2126
"詩作은 내겐 생활 같은 것"

노(老) 교수의 연구실은 텅 비어 있었다. 한때는 수천권의 책이 빼곡히 메웠을 서가만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지난 35년 반을 서울대학교에서 보냈던 시인 황동규(65·영문과) 교수의 연구실 풍경이다. 그가 남긴 흔적은 너무도 단촐했다. 낡아 해진 소파와 다리가 부러진 의자, 제자가 선물했다는 선인장 화분 한개. 정년 퇴임식을 하루 앞둔 28일, 황 교수는 “노병은 조용히 사라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동규 교수는 이력 자체가 한국 시문학사의 한 획을 긋는다. 한 평론가는 그의 작품 활동은 “20세기 후반의 한국의 시사(詩史)”라고 했다. 그는 ‘삼남에 내리는 눈’, ‘미시령 큰바람’, ‘열하일기’ 등의 시집을 펴냈고 한국문학상(80), 이산문학상(91) 등 무수한 상을 수상했다. 그가 고교시절 썼던 시, ‘즐거운 편지’는 영화 ‘편지’에 삽입돼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황 교수는 소설가 고(故) 황순원씨의 아들이기도 하다.

◆ 노병은 조용히 사라진다

지난 두어달 동안 황 교수는 연구실의 책을 정리하며 지냈다고 했다. 수많은 책을 대학도서관에 기증하기도 하고, 제자들에게 나눠주기도 하고, 트럭으로 실어 나르기도 했다. 그는 “예전에야 도서관이 부실하니까 교수들이 저마다 ‘개인 도서관’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젠 그런 것도 필요 없는데 괜한 책 욕심을 낸 것 같다”며 허허 웃었다. 황 교수는 “퇴직한다니까 여기저기서 강연해달라, 원고를 써달라해서 더 바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한 6개월쯤 푹 쉬고 싶다. 모든 일을 접고 혼자 여행을 떠날 생각이다. 부인인 고정자 한성대 영문과 교수는 현재 연구차 미국에 체류하고 있다. 그는 “평생 해 준 것도 없는데, 책이나 실컷 보겠다는 아내를 말릴 수가 없었다”며 “아내도 없는데, 퇴임식에 혼자 참석하긴 머쓱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년 퇴임의 소회를 묻는 데가 많다. 그는 “생물이란 시작했으면 끝이 있어야 아름답다. 특별한 소감 없다”고 했다.

◆ 시를 빼고는 나를 말할 수 없다

6·25 전쟁으로 폐허가 된 시가(市街). 시각적 폐허는 그에게 음악의 즐거움을 가르쳤다. 음악실 르네상스와 돌체에서 듣던 고전음악은 그에게 한줄기 희망이었다. 작곡가를 지망하던 그는 자칭 ‘음치’라는 이유로 문학 쪽으로 진로를 선회했다. 그는 한 일간지에 기고한 글에서 “더러는 한참 헤매다가 나온 곳도 있지만, 문학 골목만은 한번 들어간 후 지금도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전쟁은 어린 그에게 ‘실존주의’를 가르쳤다. 연애시라면 ‘가시리’ 류의 시 뿐이던 시대에 그는 적극적인 기다림, 실존적인 감(感)을 ‘즐거운 편지’ 속에 녹여냈다.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시 ‘즐거운 편지’ 중에서)

일본어에 대한 반감이 극에 달했던 시절, 그는 문학작품을 영어로 읽으며 읽을거리에 대한 허기를 채워나갔다. 톨스토이의 ‘안나 까레리나’ 같은 두꺼운 책도 영어로 읽었다. 자연스럽게 영문과를 지망했다. 그는 “요즘 같았으면 국문과로 갔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학생들을 죽 가르쳐왔지만 시를 빼고는 나를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인문학의 몰락, 고교 평준화도 원인

그는 최근 몰려드는 강연 요청 중에서 몇 곳만 수락했다. 인문학이, 문학이 사라지는 시대. 후학들에게 ‘왜 문학이 필요한가’, 구구절절 뜨겁게 얘기하고 싶어서다. 인문학의 몰락에 대해 그는 뜻밖에도 ‘고교 평준화’를 주요한 원인으로 꼽았다. 황 교수는 “균질한 집단에 대해서만, 철학을 가르칠 수 있고 문학을 가르칠 수 있다”고 말했다.

각 대학, 각 과마다 입학에 필요한 조건을 달리 해 인문학을 하고 싶은 학생은 고교 시절 철학과 문학을 공부하게 해야 한다는 것. 황 교수는 “아주 잘 하는 애와, 아주 못하는 애를 한 반에서 가르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공립학교는 평준화를 유지하되, 사립학교는 철저하게 능력 중심으로 운영되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고교 비평준화가 인문학이 죽어가는 현상을 되살리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죽음에 대한 훈련

그는 연작시 ‘풍장(風葬)’(1982~1995년)을 쓰면서 ‘죽음’과 가까워졌고, 그 때문인지 ‘끝’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버린 것 같다고 말했다. 학교를 떠나는 것에 대한 생각도 그다지 절박하게 다가오지 않는다고 했다. 풍장이란 사체를 매장하지 않고 관에 넣어 공기 중에 놓아두는 장례법을 말한다. 그는 “죽음에 대한 훈련을 했다고 할까. 연작시 ‘풍장’을 쓰기 전과 쓴 이후, 죽음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이제 욕심을 버렸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사람들은 ‘계속 시를 쓸 것인가’를 물어 오는데, 그런 질문은 곤란하다. 내가 ‘시를 쓰지 않겠다’고 말할 때야말로 진짜로 무슨 일을 내겠다고 결심한 것이지. 시작(詩作)은, 내겐 생활 같은 것이다. 쓰고 싶은 한 멈추지 않을 것이다.”

‘세상 뜨면 풍장시켜다오/ 섭섭하지 않게/ 옷은 입은 채로 전자시계는 가는 채로/ 손목에 달아 놓고/ 아주 춥지는 않게/ 가죽 가방에 넣어 전세 택시에 싣고/ 군산(群山)에 가서/ 검색이 심하면/ 곰소 쯤에 가서/ 통통배에 옮겨 실어다오.’ (연작시 ‘풍장’ 중에서)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