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도의 신화적 상징

홈 > 게시판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시론, 수필, 감상평 등과 일상적 이야기, 유머, 질문, 답변, 제안 등 형식이나 주제,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하며 향후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오감도의 신화적 상징

제4장 오감도의 신화 상징



Ⅰ. 상징성

오감도는 초월과 현실과 회복을 상징한다.
이러한 대 전제의 문제제기인 오감도 전체 상징도는 다음과 같다.


반복
관계
분리
통일상징
1호

5호
9호
10호
11호
12호
13호
14호
15호
2호

6호
3호

7호
4호

8호

오감도의 상징은 시조의 원리와 같다. 이 뚜렷한 시조 원리는 초장 1구와 중장 1구 · 초장 2구와 중장 2구 · 초장 3구와 중장 3구 ·  초장 4구와 중장 4구의 관계는 오감도의 1 · 2 · 3 · 4호 가 오감도의 5 · 5 · 7 · 8호 와 대립적 상징이어서이다. 확대와 수축은 1 → 5 · 상승과 하향은 2 → 6 · 성과 속 3 → 7 · 피안과 일상 4 → 8과 초월과 일상의 관계와 같다. 시제 9호는 앞의 원칙을 가지어 합하면서 회복으로 나아가는 감탄 9호이다. 감탄 9 · 균형적 결합은 10  → 11  ← 12 · 불균형의 결합, 13  →  ← 14 · 회복의 결합을 15호로 한다.

1. 초월 상징

시문학 연구는 자연의 이치나 인간이 지켜야 할 도덕규범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시는 우리의 정서적 등가물을 확인하는 일이다. 이와 관련하여 오감도 시를 연구하는 것은 오감도 시 제목의  표현이 주는 추상적 관념을 실제로 잘 알아보는 것이어야 한다.
시에 있어서 가장 드러나는 일은 시어이다. 오감도 내에서 시의 각 호마다 지니는 시어는 많다. 그러나 가장 구체적인 시어는 명사시어가 되며 한 호안에 가장 단일한 시어로 되어 있다. 1호의 "아해" · 2호의 “아버지” · 3호의 “사람” · 4호의 “환자”이다. 이들은 시가 가장 문제 삼는 인간계시어가 많은 빈도수를 보인다. 오감도는 인간과 깊은 관련성으로 되어 있는 보편성을 지닌다.
인간계시어의 빈도수는 그 특징이 오감도의 호별에서 골고루 분배되어 있다. 가장 많은 빈도수는 “나” 오세영(op. ci., 135도 이상의 시적 관심이 인간에게 있다 하였다. 
이다. 오감도는 “나”에 관한 상징적 내용들임을 암시한다. 그리고 오감도 15편 모두를 신화적 상징체계로 분류해보면 1호에서 4호까지는 초월 상징성 · 5호에서 8호까지는 일상의 상징 · 9호에서 15호까지는 회복 상징이다.
시인은 언제나 예언자와 같이 그리고 현실성을 뛰어 넘어서 피안의 세계에 숨겨진 본질을 투시하는 자이다. 이러한 시인의 표현은 일상성을 벗어난다. 이것을 랭보는 모양이라는 말로 썼다. 실세계의 물체들의 배후 그리고 그것들 너머에 존재하는 이상세계에 대한 것을 볼 수 있는 것은 상징주의 시나 상징시에서 발견되어지는 일 홍문표, op. cit., 193 참조.
이다.
인간은 누구나 일회적이 아닌 반복적 상징성에서 참여하려는 의지를 지닌다. 우선 그 시어들을 나열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시어
회수

시어
회수

아해
26
1
상지上肢
4
8
아버지
18
2

4
9
사람
9
3

6
11
환자
100
4

6
13

3
5

11
14

5
6

30
15
나, 너
2
7




시인의 관심은 어느 특별한 시어를 반복함으로써 마음의 기울임 표시를 한다. 이러한 시어의 반복은 묘하게도 반복하면서 절대성을 지닌 초월 상징이 있게 된다. 때문에 1호에서 4호까지의 오감도에 나타난 중심시어 ‘아해 · 아버지 · 싸움아니하는사람 · 책임의사가 어떻게 나를 초월하는가를 신화비평적 관점에서 살펴보게 된다.
사람이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일은 신화이다. 바로 하나님인 신이 그의 모습을 이 지상에 남겨두는 일이다. 그래서 사람은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을 이 지상에서 잘 사역 곧 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그러하여 사람은 때로는 즐겁고 때로 슬픔을 감당하면서 그의 신화를 써 나간다. 천차만별의 사람은 그 사람만의 독특한 이야기를 이 지상에 남긴다. 알리고 싶은 이야기가 누구에게나 있다. 특히 시인의 경우는 시로 신화이야기를 써 내려간다. 여기에 특히 이상시 연구자는 이상 시만이 써 내려가는 신화 이상시를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1). 아해
아주 어려운 상태에 처한 아이는 절망의 상태에서 벗어나려한다.  특히 아해는 우선 “무서워하는아해”에서 “무서운아해”로 변신하여야 한다. 그런데 사람은 극도의 무서움이 펼쳐지는 막다른 골목에서 무서운 사람이 될 수 있다. 이는 인간이 극도의 슬픔 속에서 다시 용기를 갖게 되는 것과 같다. 실제 1호에서는 분열 의식을 가진 “무서워하는아해”의 심리가 점점 없어지는 상징성이 나타난다.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무섭다고그리오”의 “무서워하는아해”가 있다. 시에 의하면 글자 순서가 2에서 1로 퇴행되고 있다. 이 순서의 법칙은 “2” 다음에 “1”로 내려간다. 이 숫자 표시는 “1” 다음에 “0”의 차례가 오게 되어 있는 보편적 순서를 가진다. 이에 비하여 “무서운아해”는 “1”에서 “2”로 확대된다. 따라서 “무서워하는” 심리는 수동적이고 “무서운”의 개념은 능동적인 심리의 보편성을 원리로 한다.
1호의 “무서운아해”가 있다. 무서운 사람은 나쁜 의미로서가 아니라 일제강점기의 어려운 상황에서 오감도는 우리나라 사람 이상시다. 따라서 이 시에서 무서운 사람은 일본사람이 아니다. 일본의 악정 속에서 무서운 사람은 일본의 악정을 이길 수 있는 사람이다. 무서운 사람이 된 바로 그의 위대한 정신력으로 당시 상황을 해결하는 특별한 존재다. 문덕수, op. cit., 20.
 인간은 생각하는 머리를 가지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이를 주로 자아 James Hillman, The Myth of Anclysis (New York: Harper Ca Lophon Books, 1975)., 153.
라는 말로 표시한다.
(1). 무서움을 퇴행시킨 아해
날이 어두워지면 주위가 깜깜하다. 그래서 낮에는 걸지 않던 문도 단단히 잠그고 마음을 안정시켜야 잠을 잘 잔다. 더욱이 아주 심한 어려움일 경우 잠을 잘 수 없다. 이 절박한 사실이 시제 1호에 등장하는데 바로 무서워하는 아이이다. 그런데 사람의 하나님 닮은 성격은 이 “무서워하는아해”에서 “무서운아해”로 바뀌는 기적이 일어나는 일이다. 한국인들이 잘 쓰는 말로 아! 무서움을 모르는 구먼!이라는 말을 쓴다. 더구나 젊은 시절에는 무서움을 모르는 이는 젊은이들이 많다. 더구나 극도의 무서움이 있는 막다른 골목에서 사는 유일한 방법은 무서운 사람이 되는 일이다. 이는 인간이 극도의 슬픔 속에서 다시 용기를 갖게 되는 것과 같다. 실제 1호에서는 “무서워하는아해”가 무서운 아해가 되는 과정이 그려진다.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무섭다고그리오”의 “무서워하는아해”는 분열의식을 가진 아이다. 그런데 시제 1호의 특징은 이상 시인이 시를 통해 무서워하는 마음이 없어지는 순서의 “2나” 다음에 “1”로 퇴행하고 있는 숫자로 한다. 이에 비하여 “무서운아해”는 “1”에서 “2”로 확대된다. 따라서 “무서워하는” 심리는 수동적이고 “무서운”의 개념은 능동적인 심리의 보편성을 원리로 한다. 그래서 이 세상의 인간사는 다시 쓰여지고 나라가 세워지고 보통사람들은 생각지도 못한 일이 일어난다. 이를 기적이라고 한다. 

(2). 통과의례의 아해

① 길 떠남
아이가 어려움에 처해서 어려움을 이기는 방법은 무서워하는 마음을 떨쳐버리고 정신을 집중시켜 무서운 아이 徐廷柱는 『현대의 현대시』 (서울: 일지사, 1973)., 211에서 “무서운아해”를 金九나 안重根같은 위대한 인물에 비교한다. 
가 되는데 그 가치가 있다. 시의 첫 행은 그 시의 출발이요 시작이라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길 떠남을 상징한 1호의 첫 행은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오”의 표현으로 출발하고 있다. 이 길을 넘어서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 시의 특성은  인간과 유기적인 관점에서 파악하려 할 때 통과 의례적 길 떠남이라는 말로 바꿀 수 있다. 
1호의 “무서워하는아해”의 "아해"는 허약한 체질을 상징하고 있음으로써 처음 길을 떠나는 "아해"가 신체 단련이나 생명 지속 내지는 혈연 지속성을 목적으로 한 것임을 암시한다. 허약한 “무서워하는아해”의 길 떠남은 일차적으로 신체 단련을 위하여 “질주”한다. “무서움”으로만 일관되고 있는 길 떠날 때의 상황은 “1의아해”나 “2의아해”나 모두 똑 같은 두려움을 가진 "아해"이다. 또한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는 것은 혈연 지속 즉 생명체의 보존을 위한 길 떠남이다. 숫자의 지속성과 결합하면서 기필코 혈연 지속이 되어야 할 것이다. 시에서의 통과의례는 시의 특징의 시 문장으로 전체성이 역설된다. 1호의 첫 행과 괄호로 묶여진 1행은 똑같은 시적 구조가 시의 중간과 끝에서 동일상징으로 발견된다. 어려움을 통과하고 마침내 목적 달성에 이른 李光豊, 『현대小說의 원형적 연구』 (서울: 집문당, 1973)., 127~142.
다.


② 전이
1호에서 통일 구조를 보이고 있으면서 중간에 놓여 있는 것은 “13인의아해는무서운아해와무서워하는아해가그렇게뿐이모였오다른사정은없는것이차라리나았오”의 표현이다. 이제까지는 표현되지 않던 “무서운아해”의 출연은 길을 떠날 때의 무서워하는“ 약한 ”아해“와는 다른 전이(transition)의 상징이다. 회화적 추상성도 함께 결합되고 있는 전이 상징의 주인공 ”아해“는 처음의 길 떠날 때이던 그 어떤 속성도 지니지 않을뿐더러 어떤 새로운 상태도 예측할 수 없는 아주 큰 존재이다.

③ 목적 달성
1호의 끝 연이 되는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지아니하여도좋소.”의 표현은 처음의 길 떠날 때의 허약한 무서워하는아해“와는 다른 시련의 긴 여정을 무사히 통과했다. “무서워하는아해”에서 완전히 탈피한 “무서운아해”는 “막힌골목”이거나 “뚫린골목이라도적당”한 상황을 만든다. “골목이라도”의 “도”는  또 다른 상항도 초월할 수 있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지아니하여도좋소” "아해"가 도로로 질주할 필요성이 없는 상징은 가장 기본적인 1호의 시적 구조에서도 유추된다. 1호에서 첫머리 하나의 긴 시행과 괄호는 먼 위치 긴 시행에 서로 상반되게 놓여 완전히 달라진 뒤바뀜의 구조가 처음과는 전연 다른 완전한 전이를 상징한다. 이것은 중간에의 긴 시행과 괄호가 목적 달성의 상징에 도움이 되는 중간의 통과 절차로서 놓인 시적 구조로서도 확인된다.

(3). 집단의 무서운 힘
1호에서 표현되고 있는 “그중의1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의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는 시적 긴장 관계가 되었다. 특히 “무섭다고그리오”와 “무서워하는”의 시적 외연으로 말미암아 공포의 분위기 이승훈, op. cit., 61.
로 이해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적 외연이 1호의 원관념이 될 수 없음은 “그중의1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에서 암시된다. 공포의 분위기는 어느 한 사람이 해소할 수 없는 보편성을 지닌다. “2인의무서워하는아해”와 “1인의무서운아해”의 긴장관계는 곧 공포의 분위기를 벗어나는 시적 방법의 길이 됨을 상징한다. 그것은 “무서운아해”의 수가 집단적으로 늘어나서 “무서워하는” 공포의 분위기가 없어지는 관계에 있는 시적 암시성에서 확인된다. 이영지, “이상의 시 「오감도」의 연구” 『명지어문학』(서울: 명지대학교, 1984).,  138~139의 도해참조.
 
“무서워하는아해”의 수가 없어지는 반면에 “무서운아해”의 수가 무한으로 암시되면서 공포의 분위기는 해소되고 있는 것을 1호는 시적 압축으로 한다. 1호가 숫자의 순열을 절대화하는 것은 곧 숫자의 무한성이 영원성이나 초월을 상징한다. 이는 문장구조의 조직과 연결되면서 공포의 분위기를 완전히 없앨 수 있는 무서운 힘이 상징된다. 인간과 인간의 정신적 결합은 한 두 사람의 결합뿐만 아니라 두 대립된 세계가 하나로 통합되는 것까지 연쇄적으로 상징한다. 혈연체가 아닌 정신적 혈연체인 공동체의 결속이 과시할 수 있는 힘은 그야말로 “무서운”이다. 또한 이것은 새로운 사회에 대한 공포감 박철석, 『현대시인론』 (서울: 학문사, 1983)., 122.
을 없애주는 “무서운 힘”을 상징한다.
남을 해치는 정신은 뭉쳐질 수 없는 보편성을 지닌다. 잘못 생각하면 1호의 “무서운아해”는 시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남을 해치는 “무서운” 힘을 가진 "아해"로 이해하기 쉽다. 이러한 해체의 진리는 어떠한 논리로도 1호의 상징성과는 거리가 멀다. 반면에 한 사람이 절망을 극복하고, 모든 13인의 사람 또는 인류 집단의 수적 상징, 문덕수, op. cit., 261.
에서 비롯되는 많은 인원의 결속은 선의의 정신력으로 뭉쳐질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정신적 혈연의 혈맹을 상징한다. “무서워하는” 수동적인 두려움의 심리를 벗어나 오히려 무서움을 보이는 능동적인 무서운사람의 도전은 무서워함의 절망을 벗어나는 신화적 구원의 방식이다. 이것은 프로이드류의 모든 대상을 환자의 심리와 연결시키는 관점과는 정반대이다. 오히려 1호의 집단적 정신력의 상징은 융의 논리인 풍부하게 하는 심상과 접맥된다고 할 수 있다.
우주공간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일 수도 있고 굴속일 수도 있다. 또는 별들이 무서운 속 도로 질주하는 공간 김우종, “이상론” (현대문학, 1957, 5)., 231
 일수도 있다. 이는 "아해", 곧 인간과 그 대상물과의 관계이다. 인간과 인간과의 모든 조건에 대한 관계는 1호에서 “의”의 은유적 표현에 의하여 인간이 모든 타 조건들을 초월할 수 있음을 상징한다. 이 “의”는 "아해"가 원관념이다. 브록스의 말대로 은유는 시적 진리를 발견하고 계시하는 통찰력의 중심 기능이 집중되는 것이어서 1호의 “의”의 기능이 마치 만해의 “님의 침묵” “눈물의 구슬” “명상의 작은 배”와 같은 “의”의 기능이 초월 상징과 관련된다.



(4). 뚫린 골목을 만드는 아해
1호에서 표현되고 있는 “막다른골목” “뚫린골목”은 “아해가질주”하는 통로로 우주공간에 상징될 수 있다. 우주공간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일 수도 있고 굴속일 수도 있다. 또는 별들이 무서운 속 도로 질주하는 공간 김우종, “이상론” (현대문학, 1957, 5)., 231
 일수도 있다. 이는 "아해", 곧 인간과 그 대상물과의 관계이다. 인간과 인간과의 모든 조건에 대한 관계는 1호에서 “의”의 은유적 표현에 의하여 인간이 모든 타 조건들을 초월할 수 있음을 상징한다. 이 “의”는 "아해"가 원관념이다. 브록스의 말대로 은유는 시적 진리를 발견하고 계시하는 통찰력의 중심 기능이 집중되는 것이어서 1호의 “의”의 기능이 마치 만해의 “님의 침묵” “눈물의 구슬” “명상의 작은 배”와 같은 “의”의 기능이 초월 상징과 관련된다.
“제1의아해”의 “의”의 긴장성은 “막다른골목의아해” “뚫린골목의아해”와도 연관된다. 이은 곧 인간에게 자연적으로 주어진 “막다른골목”이라 도 인간에 의해서 “뚫린골목”을 만들 수 있고 또한 “뚫린골목”의 광활한 상황 앞에서도 인간은 그들의 영역을 지켜 감을 의미한다. 이것은 인간이 자연이나 환경 그리고 상황을 초월할 수 있는 만물의 영장인 점을 상징한다. 특히 1호에서의 "아해"는 일생주기에 있어서 가장 어릴 때 “어린”과 “젊은”과 “적은”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甁歌와 1059, 源國원 532, 源佛 525, 請六 737, 源圭 582, 해樂 568, 源1 552 참조.
가 되고 있고 이는 4계 신화와 관련하여 “봄”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숫자의 무한성과 결합하여 영원한 봄을 상징한다.


2). 아버지

(1). 영원한 삶에 대한 자각의식
2호의 복합상징은 우선 “아버지가조을적에” “아버지가”되는데 있다. 이 “된다”의 의미개념은 “되지 않는다”를 반대 개념으로 하는 확실한 확립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내가 ..된다”고 하는 것은 자아의 확립이다. 2호에서 표현되고 있는 “아버지”에서 “아버지”로 이어지는 연결성의 특징은 또 하나의 2호적 상징성이다. 또한 “아버지가조을적에” “아버지노릇”을 하는 것은 孝적인 상징성이다. 그리고 “아버지”의 범박한 상징성은 정신존재의 칭호에 있다.
이러한 복합 상징은 각각 자아의 확립과 연결된다. 나와 신이라고 하는 전연 다른 관계로 놓이면서 동일성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아버지”의 2호적 상징성은 무한한 삶의 자각의식, 삶의 무한한 연결, 시대를 초월한 인간애, 신적 존재에 대한 것으로 구분된다.
2호에서 “나의아버지가나의곁에서조을적에나는나의아버지가”된다고 하는 것은 “나의아버지의아버지가나의곁에서조을걱에나는나의아버지의아버지가된다”고 하는 것과는 동일한 의미를 지닐 수 없다. 이의 생략으로 “나의아버지가나의곁에서조을적에나는나의아버지가되고나는나의아버지의아버지가되고..”와 같은 입체적 문구가 되어 있은 것이 2호의 특징이다. 이들의 무한한 입체 조형으로 압축된 2호는 보편적 개념에서 야기되는 권위의식 · 자아성취 · 책임자의 뜻과 부합되면서 상승 구조적 시의 특성으로 인한 초월 상징이다.
일차적으로 논의될 수 있는 “나의아버지가되고”는 “아버지가조을적에” 아버지가 되는 상징성이기 때문에 “아버지가조을지않을적에” 겪는 대립적 갈등이나 아버지자리를 빼앗는 심리 정귀영(중. op. cit.,  259~260)은 2호를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아버지에 대한 질투가 시원에까지 확대되는 현상으로 보아서 시발점에서부터 제거하려 한다 하였다.
와는 다르다. 흔히 2호는 아버지와의 갈등이라고 논의되는데 갈등은 똑같은 등가적 관계에서 팽팽히 맞서는 긴장이라고 본다. 그러나 2호에서는 의미적 갈등이 “나”와 “아버지” 사이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조을적에나는”, 자연히 “아버지”이다. 이것은 변환자로서의 자기 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변환자의 원형은 영웅 신화에서도 찾아지게 되는데 영웅 신화의 주기를 전개한 라딘 박사에 의하면 미성숙한 단계에서 특별한 계기를 겪음으로써 구원자로서의 자질을 갖는 특징을 지닌다고 한다. 이것은 이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으면서 가장 오래된 역사 속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 영웅상이다. ①Maud oakes, " Where The Two Come To There Fathere," A Nauaho War Caremonial (Bollingen: New York, 1943) ② 죠센 헨더슨, “고대신화와 현대인”,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서울: 집문당, 1983)., 118 참조.
 나는 “아버지”는 아니지만 “아버지”가 졸기 때문에 “아버지”가 아니지만 “아버지”가 “아버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없을 때 “나”는 “아버지”를 대신하여야 하는 나이다 아니면서도 동시에 변환자 “아버지”가 되어야 한다. 이것은 “아버지”의 탄생이며 동시에 “나”의 발견이며 성숙이다. “아버지는나의아버지대로인데” 나의 “아버지”가 되는 “아버지”는 냉혹한 수학적 메카니즘으로 세계가 지배된다는 소위 기계론적 자연관을 생리적으로 거부한 김용운은, “이상문학에 있어서의 수학” 『신동아』 (1973. 2)., 286.
 새로운 “아버지“를 상징한다.
“아버지”의 아들이 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의 자리로 오르는 것을 물리학적인 시간과는 달리 실존의 의식 깊은 곳에서 긴밀하게 통일된 존재구조를 발견한다.“아버지가조을적에” 나는 깨어 있어야 하는 점을 환기할 수 있는 것은 이상 시의 대립구조적 보편성의 성격에도 부합된다. “조을”이라고 하는 것은 죽음의 상징성이 되며 그 반대편에 생명이  있다. 이것은 망각의 극단에서 존재경험에 대한 체현體現을 의미한다.“조을적”에와 “깨어있을적”의 엄청난 차이는 곧 “나는나의아버지가되”는 원관념에 대한 보조 관념이다. 의미의 노출 때문에 간접적인 언급, 그리고 문자 그대로의 뜻보다는 훨씬 넓고 보편적인 의미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의미와 충만을 가져온다. 비로소 시의 긴장언어가 되살아나는 것을 환기하게 되는 죽음과 삶의 상징성 “아버지가조을적에나는나의아버지가되는”표현은 조으는 아버지로 인하여 그 자리에 가야 한다. 삶 그 자체를 깨달은 자기 방어가 되는 김종은, “이상의 정신세계”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이선영 편저 (서울: 동천사, 1980)., 345.
 인간의 견지에서 이것은 영원성을 띄는 삶의 세계를 떠 맞는다.
2호는 초현실주의 시 기법의 하나인 띄어쓰기가 아니 되어 있는 것과 시어의 결합으로 영원한 삶에의 상승의식이 있다. “나의아버지가나의곁에서조을적에나는나의아버지가되고”의 한 자리와 “나의아버지의아버지가나의곁에서조을적에나는나의아버지의아버지가되고”의 또 한자리씩 뛰어오르는 자리는 아버지의 아버지가 죽어 있는 상황과는 다른 삶으로 올라가는 것을 상징하는 나의 이야기이다.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이야기를 시로 써 내려가는 것은 나의 신화이다. 나의 신화는 나만이 시로 써 내려갈 수 있다. 감히 신의 자리는 엿볼 수 없는 사람이지만 시를 통해 그 꿈을 펼칠 수 있는 신화이야기가 가능하다. 


(2). 삶의 무한한 연결
한 사람의 삶에 대한 자각이 왜 과거로만 치닫는가 하는 것에 대한 답은 죽음과는 정반대가 되는 것을 역설하는 것이 되며 이는 과거에로 소급하여 올라갔다가 다시 “살아야만” 하는 현재로 환원하는 데에 중요한 뜻이 있다.
2호에서는 시간이라는 추상성이 “아버지”라는 구체적 대상을 통해 무한히 연결되면서 살아있는 시간이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대한 이해는 우선 “아버지”의 보편적 개념에서 본다면 “아버지의아버지가” 되는 일은 아주 긴밀한 혈연관계의 연속이 된다. 이와 같은 표현의 무의식적 심상 세계는 평소 이상이 우리 삼남매는 모조리 아버지 공경할 줄 모르는 자식들임을 깨달은 이상, “妹像” 이상전집(3)., 136.
 것과 연관된다. 혈연관계, 그것도 할아버지나 증조할아버지가 아니라 아버지만을 강조하고 또 강조하면서 결국은 할아버지나 증조할아버지 그리고 그 이상으로 연결되는 살아 있는 인간들의 가장 가까운 연결이 되면서 그 시간은 무한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강열한 혈통 의식과 그 혈통 의식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연대 의식의 부재라는 끈질긴 연관성을 2호는 표현하고 있는 것 문덕수, op. cit., 262.
로 인식된다. 결국은 혈연관계를 강조하기 위한 역설적 시의 표현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는 2호는 인간의 조그만 거부의 사고와는 관계없이 혈연관계의 긴 역사가 오늘의 한 인간을 있게 하여준 것을 깨닫는 엄숙한 순간이다. 그러므로 “나”라는 존재의 전제가 되는 “아버지”의 자리로 소급하여 올라갈 수 있는 인간의 생물학적 연결이 단절되지 않음 송민호 외 『絶望은 技巧를 낳고』 (서울: 교학사, 1968)., 129.
을 강조한다. 생명체의 연결 상징은 2호에서 인간이 태어나고 또 다시 태어나는 연속적 보편성을 무시하고 한 인간이 계속 살아 있다는데 가장 이상 특유의 시적 표현이다. 한 사람인 “나”의 가장 중요한 인간의 몸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어서 강대해진 인간을 상징한다.
혈육관계의 끈질긴 지속은 영원의 끊어질 수 없는 살아 있는 것이어서 이러한 보편성을 2호는 “살아야”하는 현재형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독 한 시인만이 느끼는 이것은 심리적 시간으로 볼 때 특히 수직적 시간이다. 한 인간 “나”가 참여함으로써 찾아지는 시간은 또한 “나”의 원조를 되찾는 시간 정덕준, op. cit.,  90~91.
이어서 “아버지노릇”도 한꺼번에 하면서 살아야하는 영원한 현재의 시간이다. 이는 한 인간이 시간의 통일성을 탐색해낸 혈연관계가 생생한 지속을 상징한다. 결국 “아버지”와 “나” 사이는 시간적으로 “아버지”가 더 많이 산 것이어서 “내”가 그 시간만큼 또 “나”와 “아버지의아버지”의 사이에 시간 길이만큼 살고 그리고 또 “나”와 “아버지의아버지의아버지의..”만큼의 무한한 시간간격을 삶으로 채울 수 있는 시적 구체성과 추상적 관념 사이는 영원한 현재 속에 과거의 무한한 시간이 수용된 시간이다. 2호는 장난 같은 말의 남용 고은, 『현대시와 작품의 실제』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79)., 23.
인 듯싶은 “아버지” 되풀이로써 시간의 길이를 무한으로 확대하며 통시적으로 살아있는 “나”를 상징한다.
1호에서 신체적으로 삼단계의 통과 의례를 거쳐 강건해진 인간의 상징성은 2호에서 무한으로 힘이 강대해진 인간의 상징으로 구현된다. 도대체가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무한히 살아 있는 2호의 “나”는 초월 상징의 존재라 할 수 있다.


(3). 시대를 초월한 인간애
무한히 이 지상에서 살아 있게 된 인간의 상징성은 무한히 살아있는 삶의 정신이다. 이 삶의 정신은 당초에는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로 되는 시의 상징성이지만 차츰 소박한 개념에서 정신적 위대한 힘으로 확대되어 가는 것을 환기한다. “살아야”하는 시의 표현처럼 몇 세대를 뛰어 오르도록 산 현재와 관련되는 산 정신은 역설적으로 원초적 인간의 삶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지금까지 살아 있는 불변의 가치를 지닌다. “나”와 “아버지”와의 사이에 있는 산 정신은 갈등이나 분열이 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원형적 상징이라 볼 수 있다. 이 의미 개념이 “효”라면 한 단계 더 높은 것으로 원형적 상징이라 볼 수 있다. 시대를 초월한 인간애는 시대와는 관련 없이 “나”와 연결되며 “살아야”하는 가치이다. 인간이 인간을 사랑하여야 하는 동서고금의 순수한 인류애를 상징한다. 구체적으로 동양의 인간애적인 것이 인仁의 근본사상에 있다면 서양의 휴머니즘적 민주주의로 시대를 초월한 인류애라 할 수 있다. 2호는 가장 감각적인 느낌의 관계인 “나”와 “아버지” 사이를 삶과 연관시키는 구체적 표현을 통해 추상적 정신의 의미를 초월적인 상징으로 드러내고 있다. 2호의 “나”와 “아버지” 사이의 관계가 이렇게 확대의 상징성으로 되는 것은 인간 존재에 대한 원관념을 지닌다.

천하의 모든 물건은 내 몸집보다 중요한 것이 없다. 그런데 이 몸은 부모가 준 것이다. 만일에 남에게서 재물을 받았다고 하면 재물의 많고 적은 것이나 그 재물의 소중하고 하잘것없는 것에 따라서 그 사람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도 다르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나에게 이 몸을 주셨으니 천하에 있는 모든 물건을 다 준다하여도 이 몸과 바꿀 수 없는 것이다. 天下之物 莫貴於吾身 而吾身 乃父母之소遺也 今有遺인以財物자 則隋基物多少輕重 而感之의爲票之栗淺焉 父母遺아(我)以身 而與天下之物  無以易此身矣 父母之恩 爲如何哉 豊敢자有身 以불盡孝 於父母乎 인能恒存此心 卽자有向親之誠 矣(擊蒙要訣, 事親장 <栗谷>).
 
(4). 신적 존재
나의 존재는 “아버지”로부터 받은 것이다. 나에게 이 몸이 소중한 만큼 남의 몸도 소중한 것의 산 정신은 어디에서도 보편적인 것이다. 또한 2호에서도 시적 구조에 의해 무한으로 확대된다. 2호의 시대를 초월하여 모든 사람을 분리하는 힘이 아니라 무섭게 하나로 뭉치는 힘은 1호의 다.의 힘의 상징성과 관련된다.
2호에서 “내”가 “아버지의아버지의아버지의..아버지가” 된다고 하는 것은 궁극에 가서는 영원한 아버지, 무한한 아버지, 원초적인 아버지 또는 초월적인 아버지로서의 결국은 신적 존재가 되는 일과 같다. 이 수직적 형상의 현존해 있는 상징적 신의 이미지는 지고존재자 또는 창조자, 전능자의 영역이다.
아버지와 나와의 관계는 자연의 질서에 해당한다. 그런데도 2호에서와 같이 절대자리로까지 뛰어 오르는 것은 자연을 초월하는 상징성이다. 주어진 자연의 환경은 태어날 때 이미 정해진 것이다. 이 지배적인 자연을 떠나서 신이 되는 것은 존재의 세계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우주관으로까지 확대하여 최고의 위치인 하늘에 오르는 4차원의 세계이다. 아버지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 소멸될 수밖에 없는 유한적 현존체인데 이를 2호에서와 같이 변화시켜 하늘의 상징성은 진정한 나를 찾아 사는 철인 김준섭, “존재론에 관한 연구” 『논문집』 제 21집 (서울: 학술원, 1982)., 24.
에 비유된다.


3). 싸움하지 않는 사람

(1). 싸움에서 이긴 사람
3호에 표현된 문제의 제기는 “싸움하는사람이싸움하는구경을하고싶거든”이다. 이것은 어떤 선입관이나 의미를 제거해버리고도 싸움에서 이기지 못한 경쟁 혹은 싸움의 의식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상징적 기능성은 “싸움하지아니하던, 아니하는, ..아니하는것”으로 연관되는 시저 표현에서 강조되고 있는 외면상의 행동을 연상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상징성은 어떤 행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싸움하지아니...던, 는,  는것”의 경우 추상적인 개념으로 상징되는 서여이나 성질로 유추되는 것은 사회성이나 종교적 의미로도 발전한다. 원만한 사람 혹은 종교적인 측면에서의 상징성은 3호의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의 표현과도 상통한다. 따라서 3호의 반복적 기능과 결합된 상징성은 싸움에서 이긴 사람, 지상에 영원히 살아있는 사람, 성스러운 세계, 가을의 신화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싸움”은 3호의 제재적 시어이다. 인간은 늘 싸움의 생활을 하고 있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길 것을 전제로 한다. 원래 삶의 정신구조는 인간이 싸움에서 이긴 것이다.

신화는 평화적인 축보다 전쟁으로 생각하는 것이 훨씬 쉽다. 인간이 살아 있다는 그 특징은 늘 다른 살아 있는 것을 죽이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 때문이다. 생명은 목숨이 붙어 있는 한 다른 생물을 먹어야 하는 진리를 가진다. 다른 생물을 먹은 사람은 지상에서 평화를 누리며 살고 있다. 참조: Joseph Campball, Myth to Live by (New York: The Viking Press, 1972)., 174.
    It is for obvious reason; For not only has conflict between group been norma to human experience, but there is also the cruel fact to be recognized that killing is precondition of all living whatsoever; life lives on life, eats life, and would otherwise not exist. To some This terrible necessity is fundamentally unaceptable, and such people have, at times, brought forth mythologies of a way to perpetual peace.
 
지상에서 살아 있는 사람은 경쟁, 살생을 거쳐 온 사람이다. 그는 가장 기본적인 삶의 첫 조건부터 생존 경쟁에서 이긴 자가 되며 그런 다음에 인간의 정을 순화시켜 마음의 평정을 이룬다. 馬友蘭, 『중국철학사』, op. cit., 154.
 영웅 신화에서 이야기되는 “싸움”은 주인공이 적보다는 항상 뛰어나서 늘 싸움에 이긴다. 살생을 거쳐 주인공의 편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도와주는 영웅은 좋은 일만 하는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다. 견딜 수 없는 시대를 싸움하지 않고 사는 예수님 같은 사람은 싸움하지 않는 사람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람은 자기를 완성한 사람이다. 이 상징성은 앞에서와 같은 영원한 삶에 대한 자각을 가진 자와 연관지어진다.
현대시의 논의 대상이 되는 애매성을 지닌 3호는 “싸움하는 것과 싸움하지 아니하는 것” “현재와 과거” “긍정과 부정”의 동일성을 노래한다고 보기도 한다. 두개의 균등한 대립 관계로 인한 동일성이라고 지적되고 있는 경우 이는 반어를 기본으로 하여 시제에만 초점을 맞출 때 현재와 과거의 동일성을 노래하는 셈이라고 연구되었다. 그리고 이 동일성은 무의미가 된다고 하였다. 이승훈, op. cit.
 사실 싸움하지 아니하는 사람은 이 지상에 존재할 수 없다. 싸움하지 아니하는 일은 신만이 할 수 있다. 신화 비평 관점의 싸움하지 아니하는 3호시를 통하여 자신이 얼마만큼 싸움하지 아니하고 살 수 있는 지를 시험하는 시이기도 하다.


(2). 지상에 영원히 살아 있는 사람
3호의 주요 맥락이 인간에 대한 시적 표현임에 비추어 “싸움하는” 사람은 싸움하지 않는 사람이고, 그 사람은 현재와 과거에도 동일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 3호의 사람은 시대를 초월해서 존재하는 사람 그 자체의 동일성을 상징한다.
한편의 시는 구조로서만 파악될 것이 아니라, 통사적 흐름에 유의하여야 한다. 오감도의 어느 호에서나 거의 현재 혹은 현재완료형이 시의 통사적 구조로 놓인다. 3호도 예외는 아니어서 현재→ 과거, 현재→ 과거, 과거→ 현재, 현재→ 현재, 과거→ 현재→ 현재완료의 진행을 보인다. 그리고 또한 미래시제로는 과거 현재 미래의 동일성이 되는 원칙이 싸움하지 않는 것으로 일관되어 있는 흐름을 본다. 이는 이상 자신의 존재 영속성을 띄는 중층 묘사이다. 따라서 시의 특성인 이매 모호성의 복합 상징이다. 이것은 동일 상징이다. 상징이 입체성을 지닐 때 그것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전체저이며 시어 하나하나의 의미보다 문맥 전체를 통한 보다 깊은 의미로 확대된다. 3호의 가장 특징인 점이 바로 인간만큼이나 복잡하고 애매한 특성을 시의 애매성으로 회화한데 있다. 이러한 입체적 상징은 진부하고 철학적인 용어대신 시인의 신념에 의하여 조절되고 정의되어지며 생기를 띄는 시성으로 살아나는 시의 특성과 부합된다. 홍문표, op. cit., ., 132, 208 참조.
 시간적 동시성과 공간적 동시성이 같이 있는 시는 다른 순간에 있어서의 현실이 동일 화면에 같이 존재는 미의 회화적 입체성과 같은 것이다.
3호의 “싸움하는사람과”과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과의 시적 긴장관계는 영속성이라는 추상적 관념과 어떤 관계에 있을까? 3호에서와 같이 “싸움하는사람”의 “싸움하는”것은 가장 원형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Albert Mordell, 조규동·김치수 역 『문예思潮』 The Erotic Motives in Literwfule (성과 문학) (서울: 선문사, 1949).,  42~43.
면 성적 관계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본능을 삼의 본능인 에로스와 죽음의 본능인 타나토스로 대별하고 에로스를 성의 본능과 연결시키고 있다.
문학에서의 에로틱성은 가장 인간 삶의 진실성을 드러내주는 것이며 흥미의 대상이다. 김용직, 김치수, 『문예사조』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31)., 262.
 성이란 생명과 성스러움과 신비와의 결합을 조장하여 주는 어떤 것이다. 우리 자신이 아닌 딴 어떤 것이 우리 자신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이 본질은 성의 본질이자 우리 자신의 존재의 본질이다. 이러한 관전에서 보면 시와 에로티시즘의 관계는 삶의 관계요 삶의 궁극적인 확대에 속한다. 문학에서의 초현실주의적 에로티시즘은 사랑에 대한 과감한 표현 Joseph Campbell, op. cit., 1.
을 통해 인간의 꿈 내용을 드러내는 것이다. 3호에서의 “싸움하는사람”과 “싸움하지아니하는”듯한 금욕적인 생활만이 크로즈업 된다. 그러면서도 이 지상에 인간이 존재하는 것을 “구경하였으면그만이다”라는 표현을 통해 인간 존재의 영속성을 상징한다.
난삽한 성의 문학일 것 같은 3호가 사실은 존재의 영속성에 대한 것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쉽사리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가치는 신화적인 차원으로 환원한다. 그렇다면 성과 신화적인 관계는 무엇인가? 그것은 살아 있으면서 죽음에까지 이르렀다가 다시 삶으로 이어지는 삶의 무한한 영속이 되는 것에 있다. 이것은 지극히 현실적이고도 영원성이 된다.


(3). 성스러운 세계
3호에서의 “싸움하는사람은즉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이고또싸움하는사람은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었다의 표현은 한 사람의 양면성을 상징한다. 어떤 때는 “싸움하는사람”이었다가 또 어느 때는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인 인간의 양면성은 각각 보편성의 인간이다. 그러나 문맥의 전이적 관계는 “싸움하는사람”과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과 도치현상이 되면서 3호의 사람 수는 세 사람으로 바뀌어진다. “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이싸움하는구경”의 표현에서 “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 하나와 “싸움하는”의 암시적 두 사람이 합하여 세 사람이다. 또한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싸움하는구경”하는 표현도 역시 세 사람의 사람을 암시한다. 그리고 시의 마지막 분맥에서는 “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과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 “싸움하지아니하는것”(사람)을 구경하는 것으로 세 사람의 구성이다.
한 인간은 두 개의 속성을 지닌다. 그러나 3호에서 과거에 “싸움하지아니하던” “사람”은 현재에도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으로 사람이 “싸움하지아니하는것을구경하는” 것은 “그만이다”의 법칙인 이것은 “싸움하지아니하는것”을 원칙으로 하여 현재에 “싸움하는사람”을 “구경”만 함으로써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들의 정신적 혈연은 “싸움하지아니하는” 정신적으로 조화인 성(聖)사회이다. 3호의 “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과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과 “싸움하지아는것”을 “그만”으로 하는 사람들의 성스러운 정신은 3호의 앞에서와 같은 폭넓은 인간애의 상징성과 연관된다. 어느 시대나 어디에서나 “싸움하지아니하는것”과 인간애는 인간들의 최후의 목적으로 삼는 이데아이다.
(4). 가을의 신화
3호와 4호가 유일하게 연결될 수 있는 조건은 3호의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 모습이 4호의 “환자의용태”와 같은 동일회화성이다. 이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의 회화성은 인간의 노쇠한 모습이다. 프라이의 4계의 원형에서도 인간의 노쇠한 “싸움하지아니하는” 형상은 가을의 신화이다.
반면에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은 인간 성숙을 상징한다. 인간의 정신은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정신의 분별력이다. 행동 분야에서의 분별력이야말로 정신의 본질적 표지이며 이 능력이야말로 빛을 상징한다. 필립윌타이트, op. cit., 123.
 인간성숙의 상징은 체질적으로 가을에 해당한다.  모든 곡식이 무르익어 고개를 숙이는 모습이나 인간이 분별력 있는 성숙으로 인하여 어느 일에나 함부로 뛰어들지 않고 싸움하지아니하는 상태가 되는 것은 그 인간성의 완숙도를 다하는 때이다. 인간 성숙의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은 금욕적인 강한 정신의 소유자를 상징한다. 현대 시의 시어란 근본적으로 은유적 표현이므로 종국적으로 표현의 기능보다는 진실이 더 중요하다. 훌륭한 정의는 가능하면 진실을 가리는 “싸움하는”의시어를 밀어낸다. 자기를 이기는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은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은 극기의 인간상 정명환(op. cit., 42~43)은 불교적인 극기의 과정은 이상과는 무관하다 하였다.
 이 “싸움하지않는” 가장 완벽한 정신의 소유자다. 융과 프라톤도 정신의 상징으로 한다. 3호에서의 “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은 “싸움하는사람”을 지나 “싸움하지아니는사람” 긴 일생을 살아 노년에 이른 사람이며 정신적으로 완숙되어 있는 사람이다.

4). 책임의사

(1). 책임의사의 처방
4호의 표현되고 있는 사람은 “환자와 책임의사이다. 이 둘의 상관관계는 보편성으로 보아 책임의사가 “환자를 치료한다. 또한 4호는 숫자가 지속되고 있는 관계에 있어서 어떤 단결성을 보이고 있지 않다. 4호를 보면 거꾸로 된 숫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된 숫자가 “0.1”이다. 이것은 시어 책임의사와 관련하여 그의 기능이, 잘못 된 것을 바로 잡아 주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책임의사는 인간이면서도 의술을 가지는 특별한 존재이다. 4호 전체에서 상징되는 유기적 관계는 책임의사의 처방, 지속성, 마음의 중심을 바로 잡아주는 책임의사, 상호의 영역이 책임의사의 상징성으로 논의될 수 있다.
4호에서 유일하게 표현되고 있는 인간은 “환자와 책임의사이다. 환자로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신화적인 용어로 제신의 질투를 받지 않고 이 지상에서 삶을 누릴 수 있을까이다. 이와 연관된 책임의사는 또한 얼마나 큰 위력으로 “환자와 책임의사를 관련성으로 보는 것은 “진단 0.1”에서 유추된다. “진단”을 할 수 있는 특별한 사람은 “의사”가 되며 특히 거꾸로 도니 숫자가 바로 서 있는 것이 되는 것은 책임의사가 “환자를 완전하게 고친 것을 상징하고 있다고 보겠다. 따라서 거꾸로 된 숫자는 “환자가 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환자의 환자 상태와 건강한 상태를 나타낸 시는 “진단 0.1”로 된 또 다른 이상 시에서도 동일 상징성이다. 조선의 建築(1932. 7월호)에 기재됨.
 “환자가 아닌 건강한 상태를 “0:1”의 비율로 상징하며 숫자가 바로 놓여 있다.
 시의 동일 상징성이 되고 있는 “0.1”이나 “0:1”의 결과는 시에서 표현되고 있는 책임의사의 기능을 상징하는 것이 되며 이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을 신화로 만드는 사람(Docter) V. S. Pritchett, The Myth Makers (London: Chatto & Windus Ltd, 1979)., 37.
다.
4호에서의 책임의사가 지니는 기능은 “환자의 비정상적 상태를 바로 하는데 있다. “진단 0.1”의 대립은  거꾸로 된 숫자 1일것이어서 이는 “환자의용태”와 같다고 할 것이다. 4호에서는 “진단 0.1"로 “환자의용태”가 건강하게 된 상태를 “진단 0.1”로 상징한다.
또한 좌우의 숫자도 “환자와 “환자가 아닌 상태를 상징하여 전후좌우모두 “환자의 용태”와 건강한 상태의 관계이다. 따라서 “진단 0.1”은 “환자의 건강한 상태를 상징한다. “환자의용태 1.0”과 책임의사의 “진단 0.1”의 관계는 좌우를 보면 거꾸로 된 숫자와 바로 된 수 0.1의 진단관계에서 책임의사의 절대적 상징은 “의사”의 원형을 찾아진다.
의사의 원형은 그리이스 정신 아스크레피우스에서 찾아진다. 그는 황금빛 건강을 가져다주는 자여서 마법의 신비로움을 익히고 있다 하였다. Edith Hamilton, Mythology (Boston: Little, Brown Company, 1940)., 280.
 또 psycho-pomp 라고 불리던 영혼의 지도자 그리이스의 신 헤르메스는 교차로에 서서 삶과 죽음의 사이를 중개하며 삶으로 이끌어 갔다고 한다. 특히 현대의 프랑스에서는 카드에 로마의 그리이스 의신 아스크레피우스의 상징인 뱀과 지팡이가 그려져 있고 이는 의사의 차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다. 조셉 헨더슨 “고대신화와 현대인”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op. cit., 158.
 이로 미루어 본다면 4호의 중간의 까만 점은 의사의 지팡이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한 인간의 병과의 치열한 싸움에서 그 병을 이기고 완치되는 것은 책임의사의 자신일수도 있다. 인간이 자기를 이기고 확인까지 할 수 있다는 것은 삶과 죽음의 상황에서 삶으로 바꾸는 초월자가 되는 순간이다. 이 사람은 이상 자신 김용운은 “이상과 이상과 異常” 『문학사상』(1973. 7., 249)에서 4호를 이상자신의 환자적 용태, 김구용은 “레몬에 도달한 길” 『한국문학』에서 이상자신의 자화상, 김용운(op. cit., 294)에서 이상자신이 최후의 판단을 내리는 자로 아무런 답이 나올 수 없다 하였다. 
이며 책임의사는 인간으로 그 자신에 해당한다. 결국 삶과 죽음과의 치열한 싸움에서 이긴 “이상” 책임의사는 3호의 가.에서 싸움에서 이긴 사람의 상징성과 연관된다.
거꾸로 된 숫자의 4호를 거울에 비친 숫자라고 하는 것 김우종, “Tabu 이상론'” 조선일보 (1957. 4. 29).
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4호를 거울에 비친 숫자로 볼 수 없는 이유는 숫자가 대칭적 구조로 되어 있고 시어에서 ‘환자 · 책임의사’가 대립적 기능을 더한다. 만일 거울에 비친 숫자라면 “환자 및 책임의사와 그 밖에 “진단 0“1”도 거꾸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 이상 시에서 거울이 등장하는 예는 「거울」, 「명경」, 「오감도」 8, 10, 15호 등 몇 편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상 시와 거울을 지나치게 연관시킬 필요는 없다고 본다. 이 거울에 대하여는 그 때 그 때 논의될 예정이다.
 이런 점을 감안 한다면 4호는 회화성으로서의 둥근 형태의 거울을 상징하며 책임의사와 연결되면서 영원성을 상징한다. 병이 나은 상태의 영원한 인간은 일찍부터 현대인이 영원성의 표상으로 둥근 보름달을 보고 상상하던 것과 연결된다. 또한 거꾸로 된 숫자는 사람을 상징할 때만 거울에 발려 있는 “수은”과 연관되며 이에 대한 이해는 8호에서 작자가 의도적으로 “수은”과 “평면경”을 연관시켜 가고 있다.

(2). 지속성
4호의 “환자의용태”가 회전의 법칙에 의하면 “0”의 상태가 되는 것을 오감도의 구조에서 살핀바 있다. 그런데도 “진단 0.1”이다. 이 “0.1”과 “진단 0.1”사이에는 이론상 모순과 괴리가 생긴다. 따라서 “0”과 “0.1”의 시적 혼란은 “진단 0.1”이 “0”으로 되어 있지 않고 “0.1”로 되어 있는 긴장관계가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0”과 “0.1”에 대한 은유적 긴장 관계는 이상 시 4호가
과 같은 순환의 법칙에 있으면서도 수평적
..의 수평적 지속성을 암시한다. 이것은 인간존재의 영원성에 대하여는 죽음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이상의 의도적 의지가 상징되고 있다. 숫자의 중층 묘사가 보여주는 수많은 회전성의 반복은 영원성을 상징하는 것이며 이에 함께 결합하는 일회적 존재도 영원성으로 역설되어 인간의 지속성을 “0.1”로 표현한 결과에 이른다.
숫자 하나하나를 “환자로 생각할 수 있는 4호 원명수, “이상론” 『현대현대문학론』(서울: 일월서각, 1980)., 198.
는 숫자사으로 100명이다. 이를 다시 우리의 고유어로 고치면 모든 사람의 뜻이 되는 온(모든) 인류의 “환자의 용태”이다. 이는 온 인류의 멸망 위기가 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가장 큰 단절성에 대한 전제도 역시 4호를 신화적인 설명으로만 가능하게 한다. 온(숫자 100) 인류의 집단적인 이 “환자의용태”의 상징은 초능력적인 신비의 힘 아니고는 같은 날자에 “진단”하고 치유하며 서명 날인할 수 없는다. 이에 영웅적인 “의사”의 힘이 요청되며 이에 응하여 그는 초월적인 상징의 힘으로 삶의 힘으로 삶의 혈연들을 치유하여 간다. 그것은 4호가 늙고 병든 인간들을 신통기의 과정을 거쳐서 죽지 않게 만들어 놓는 신화구조에 해당한다.

 G. S. Kirk, Myth (Cambridge: The University Press, 1978)., 205.



인간이 병들어 있는 상태의 4호를 그 숫자 100명이기에 온 인류가 병들었다고 보는 관점에서 모든 사람을 “0.1"로 “진단”한 4호의 책임의사는 신적 존재와 같다. 이때의 “0.1”의 상징은 “진단 0.1”의 의미보다는 삶으로 만든 지속의 의미비중이 더 크다. 4호가 신체의 기관이 억망이 되어버린 경우 박철석, op. cit., 129.
라면 이를 치유한 책임의사의 힘은 이에 반비례한다. 온 인류의 육체가 병든, “환자의 용태”를 고쳐놓은 “1”의 상징성은 생명력의 본질적인 원형을 강조한 결과이다. 바로 한 사람에 대한 근본적인 삶의 이치는 온 인류의 법칙에도 적용된다. “0”과 “0.1”의 상징적 관계는 3호의 “싸움하지아니하는” 인간들의 상징과 연관된다. “싸움하는사람”들의 행위로 인하여 인간이 이 지상에서 영원히 있는 것은 곧 4호의 “0”이 “0”으로 끝나지 않고 “1”로 이어지는 발전적 상징성과 결합한다. 이는 “zero of symbolic value”가 무의미한 것이 아니다.


(3). 마음의 중심을 잡아주는 책임의사
4호의 가장 많은 쟁점은 병든 사회나 병든 정신으로 보려한다. 숫자의 도치는 절망의 진단서 임종국, “이상의 生涯와 예술” 『이상 시집』 (서울: 정음사, 1973)., 169.
”이며 일체의 가치가 전도한 양상 Idem, '이상문학의 본질” 『이상전집』 (서울: 문성사, 1966)., 434.
이며 이상과 그 시대가 병들어 있는 것 김춘수, “이상의 죽음” 『사상계』 (1956. 7)., 286.
을 통시에 상징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의 외연적 파악의 반대편에는 내포가 있는 것이 시다. 곧 바로 된 숫자가 암시하는 중심을 잡아주는 자의 상징이다.
숫자 하나가 0.1로 바로 놓여 진 것과는 달리 많은 숫자의 거꾸로 된 4호의 외연적 상황은 보통 개념과는 거꾸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4호가 의미의 거부를 뜻하는 표현 정귀영, “이상과 현대문학” 『한국문학』 (1976. 8)., 299.
 · 현실적 의미의 거세를 뜻하는 것, 라종인(op. cit., 369).
 · 인간의 처절한 고독을 알고 있는 이상 김현, “이상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자由문학』 (1962)., 248.
으로 상징되게 한다. 외연 상으로는 4호의 숫자적 표현은 병들고 부패하고 절망한 상태를 상징한다. 그러나 바로 된 숫자 “0.1”은 이와는 다른 것을 상징한다. 사실은 숫자만의 이유로 4호전체가 현대의 부조리를 상징하고 있다 최현, 『현대시 10강』 (서울: 성문각, 1968)., 210.
고 본다면 역시 4호의 숫자 하나하나는 합쳐서 100이 된 이 100을 우리 고유어로 바꾼다면 “온” 세상이 거꾸로 되어 있는 것을 상징한다. 그러나 바로 된 숫자 0.1로 하여 이를 바로 잡는 한 사람, 특히 0.1로 하여 절대자에 가까운 책임의사가 된다.
온 세상이 거꾸로 되어 있다는 충격적 시의 비유는 이에 대한 반응으로 절대적인 치유에 대한 시가 되게 한다. 시는 structure와 texture를 가진다. 시의 구조가 진정으로 의의가 있고, 시적이 되는 것은 그 시의 진행에 따라 나타나는 구조의 복잡성과 특수성을 지나갈 때이다. 홍문표, op. cit., 178~183 참조.
 회전성을 보이는 4호의 숫자와 시가 지니는 기승전결의 결에 해당하는 “0.1”은 거꾸로 된 병든 정신이 바른 정신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책임의사에 의해서다. 이러한 4호의 상징은 사회적 기능이 재화의 예방과 온갖 질병의 예방과 치료로 인한 행복 선지先知적 축술성에 있다. 박성의, 『현대문학배경연구』上 (서울: 이우출판사, 1978)., 272.
 4호의 숫자가 순전順轉만으로 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또한 역전만으로 되어 있지 않는 것은 4호의 책임의사에 의해 마음의 중심을 바로 잡는 일이 일어난다. 마음을 바로 잡는 일은 천개天開와 지벽地霹중의 인입인생人立人生이며 천지간의 인이 되며 상과 하의 가운데인 중中이 되는 것이며, 정신과 육체가운데의 기운이며, 왕과 왕 중에 왕이다. 구본혁(op. cit., 108)은 상중하 1貴(王), 天인地 상중하 連基中謂之王, 1貴3爲王이라 하였다.
 이 중심자는 인간의 마음에 내재하여 인간의 생명과 동정의 조화를 주제한다. 결국 몸 안에 모신 하나님의 뜻을 잊지 말고, 수심정기修心正氣하여 살아야 하는 일『동양사상자료집』 1, 현대학문헌연구소편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9).,  11~18.
을 말한다. 잘못되고 병들어 있는 온갖 정신이나 사회를 바로 잡아주는 책임의사의 상징성은 앞 3호와 같은 “싸움하지아니하는” 정신력의 소유자가 구현하는 성聖사회 상징성과 연관된다.
안네의 일기에서 안내가 살아 있게 된 힘은 옆 수감소에 언니가 살아 있다는데 위안을 얻고 행복에너지가 솟아 잘 살아간다. 좋으신 분을 믿는 마음만으로도 행복해지고 이 세상은 살만한 가치가 있다.


(4). 의술의 영역
4호는 숫자로 된 4각형이다. 이 객관적 상관물로 놓이는 4각형은 인간을 지칭하는 환자나 책임의사와는 냉정한 눈으로 바라볼 때 어떠한 유기적 유추도 불가능해진다. 특히 인간이 자연세계에서 발견해 내는 것 중 어느 것도 4각형의 모습을 지닌 것은 없다. 인간이 시각적 공간을 초월하여 시도하여 낸 4각형 도해는 시각 체계가 아닌 정신의 세계 곧 내면적인 사유의 세계에서 파악되어지는 4차원의 심리적 세계이다. 시각적으로 든 공간적으로 든 완전히 독립된 이 4각형은 감각적 체험에 의한 인간의 창조성이다. 이것은 회화시의 특징이다. Arnold Hauser,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근세편 상, 백낙청』·박성환 공역(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3)., 17 참조.
 자연주의적인 형태를 완전히 재창조하고 새로이 고양된 이미지로서의 회화성을 지닌 4호는 “환자와 책임의사의 시적 언어의 상징성과 결합하여 인간이 자연적인 삶에 도전하는 암시성으로 전환된다. 의술의 힘은 인간의 생명을 연장해 주는 마력으로 인식된다. 4호의 “환자의용태”처럼 자연적으로 오는 자연의 모습, 그것도 거의  부동적 상징이 되고 있는 상태에 책임의사는 의술로 이에 도전하려 한다.
4호에서의 책임의사는 실제 병원에서 인간이 회복되어 가는 경우와는 훨씬 높은 초월적 기능이 발휘된 것으로 지금까지 논술한 바 있다. 이것은 인간의 힘과는 다른 꿈의 세계와 연관된다. 네 가지의 기능적 회화의 네 개의 기점을 상징하는 4면체라고도 할 수 있는 4호의 숫자적 4각형은 기독교에서 논의되는 4위인 성부. 성子, 성신, 성모와 같은 가장 원형적인 상징성과도 부합 마리 루지제 폰프란츠, “자기의 사회적 측면”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op. cit. ,p. 234.
된다. 4면체는 꿈 내용의 배열에서 찾아지는 것이어서 가장 완전한 것의 상징성이다.
기하학적 공간의 수학 화라고 할 수 있는 4호의 4면체는 부분과 전체의 모순성이 없는 질서에 의하여 총체성을 상징한다. “환자가 된 것은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는 관계에서 의사 기능의 특별한 의미에 의하여 결합하면서 극도로 발달한 인간의 능력 초절성이 상징된다.

지금까지의 논의된 내용에 대한 타당성 여부는 상징주의적 시론의 경우 초월 상징시다. 이 경우의 구체적 이미지는 시인 개인의 내면에 있는 특수한 이념이나 감각의 상징 곧 개인적인 상징이 아니라 광대한 보편적 이상주의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현실세계를 뛰어 넘어서 피안세계에 숨겨진 본질을 투시하는 자는 시의 화자이다. 현대시는 대부분이 처음의 시작에 가장 높은 세계, 혹은 바람직한 상징성으로 채워지고 있다. 이상 시는 처음이 초월을 나타내는바 인간의 꿈과 관련된다.
인간이 바라는 꿈의 세계는 늘 푸르고 늘 멋있고 그리고 늘 자유스럽다. 이 꿈꾸기는 인류를 행복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몫이기도 하다. 그런데 성경은 이 푸르름을 하나님의 강으로 한다.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푸르게 · 파랗게 · 파랗라는 말이 주는 영원히 싱싱한 모습은 인간의 강이 아니라 하나님의 강이다. 그러기에 이 푸르다는 말을 늘 잘하는 한국 사람들은 자꾸만 하나님의 강을 의미하는 말을 되풀이함으로서 복을 받는 민족이 된다. 말은 늘 그 사람을 만들어낸다. 아주 의미가 깊은 그러나 말하기 좋은 이 푸르게 혹으 파랗게 그리고 희망이 푸르다. 푸른 하늘 등의 언어를 잘 사용하여 말하면 본인도 모르게 복 받는 민족이 된다. 
2. 일상의 상징

1). 낙상한 아我

현대시의 주된 경향이 일상적인 언어를 통하여 일상적인 삶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은 낭만주의적 사고가 아니라 리얼리즘의 사과의 바탕에서 이루어지는 강한 현실적인 일이다. 일상은 초월적인 것이거나 구원적인 것이 아니라 동물적이고 파괴적이고 그러면서도 끊임없이 방황하여야 하는 비극이다. 허무와 좌절 속에서 세속의 욕망에서 번민하고 갈등하는 일상이야말로 가장 인간다운 모습일 수 있다.
이러한 현대인의 특성이 5 · 5 · 7 · 8호 와 관련이 있다고 하는 것은 이 네 호들이 상오 간에 연결되는 특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들은  ‘일지 · 일년 · 일봉가신 · 일축철필 · 일장백지 · 익일이다. 1회성을 암시하는 이들 시어는 일회적 인간의 상징과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5 · 5 · 7 · 8호 의 특성은 일회적 상징으로 유추된다. 일상의 상징 내지 일회적 상징은 회전성을 보이지 않는 점에서도 유추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상의 상징이 5호에서는 “아我” · 6호에서는 “앵무” · 7호에서는 “현화” · 8호는 “시험담임인”으로 대표된다. 5호에서 표현되고 있는 유일한 구체적 시어는 “낙상”과 “흔적”과 “4각형”과 “거꾸로 된 화살표”로 구분 이들은 “반외소형畔矮小形의신”과 관계를 가진다. “아전낙상”은 “아我”의 시어가 있음으로써 자아 “흔적” 회화성으로 숨을 곳을 찾는다. 화살표로 밝은 빛을 거부한 “아我”로 “신의안전에낙상” · 흔적을 위한 노력 · 아我가 숨는 곳 · 순환성을 거부하는 아我의 상징으로 구분한다.

(1). 신의 눈앞에 낙상
오감도는 호와 호끼리 긴밀한 연관이 되어 있는데 4호의 숫자적 대비구조가 5호에서는 시어 “아我”와 “반외소형胖矮小形의신”으로 나타난다. 5호에서는 “아我”가 그 대응적 시어 “여”가 표현되어 있지 않는다. 또 “반외소형胖矮小形의신”이 그 대립적 시어인 ‘대형의신’이 아니라 “아我”와 “반외소형胖矮小形의신”과 대칭을 이룬다. 가장 현대인다운 상징성은 지적인 것이다. 신적인 대상 “반외소형胖矮小形의신”에 비하면 자아를 상실한 인간이다. 5호의 “아我”는 자아를 상실한 인간 소멸될 존재이다. 5호에 표현된 “전후좌우”의 시어가 동서남북을 차지한 존재라면 “전후좌우를제하는” 시어휘는 존재의 소멸이미지이기 때문이다. 이 소멸될 존재는 “반외소형胖矮小形의신”은 “신”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자아의 상실이 야기된다.
이 자아 상실 정도는 “아我”의 대상인 “반외소형胖矮小形의신의안전”에 “낙상한”것으로 극대화된다. 이는 “반외소형胖矮小形의신”과는 반대가 된 회화적 형상
0 Comments
제목